아프니까 청춘이다 - 인생 앞에 홀로 선 젊은 그대에게
김난도 지음 / 쌤앤파커스 / 2010년 12월
평점 :
절판


다시 그 시절로 돌아갈 수만 있다는 생각이 자주 든다. 그럼 어떻게 될까? 친구에게 이런 말을 한 기억이 난다. 난 싫다. 그 시절로 돌아가면 다시 대머리가 대통령이라면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고. 그러나 다시 돌아가면 그 시절의 시행착오를 줄이며 살아갈까? 지금의 기억을 가지고 간다면 모를까 사람 천성이 어딜갈까 싶다.

아프니까 청춘이다. 그렇다 그 시절 많이 아팠다. 그러나 아무에게도 난도샘과 같은 대화를 해 본 기억이 없었던 것 같다. 배부른 자의 고민이라고 지청구를 듣지나 않았을까? 내면의 아픔, 고민을 쉬 다른 사람에게 들어내기도 거시기 하지 않았던가. 

중학생인 아들에게 일독하게 하렸는데 아직 그 나이가 아니라 그런지 내키지 않는 것 같아 내가 읽는다. 아들이 스무살이 되면 나는 어떤 이야기를 하고 있을까? 아무래도 내가 너만 했을땐 안그랬는데~로 시작하는 정말 해서는 안되는 지청구를 늘어놓지나 않을지 솔직히 걱정이 된다. 책을 보면 쉬운데 왜 실전에선 엇길로, 엇박자를 그리도 잘 맞추는지. 미리미리 연습을 해두어야겠다.

이 책을 읽고 내게 가장 강렬한 인상을 준 것이 난도샘의 시계론이다. 인생 80을 24시간에 비유하면 예순살이 오후 여섯시란다. 
1년이 18분, 10년이 180분(3시간)이니 올해들어 부쩍 나이가 들었다는 타령을 자주 했는데 계산하니 겨우 오후 2시도 안되었다. 해가 지려면 4시간이 남았으니 얼마든지 새로운 시도를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나에게 심어주었다.

늦었다라고 생각할때가 가장 빠른 법, 사람들이 하는 걱정중 절대 다수가 쓰잘데기 없는 걱정이라고 한다. 
청춘이라면 시시각각 떠오르는 상념과 아픔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야 하지 않을까. 그속에서 나를 제대로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타인과 비교하여 억지춘향격으로 거기에 맞추려다 보니 힘들고 아픈것이 아닐까 싶다. 


불안하니까 청춘이다.
막막하니까 청춘이다.
흔들리니까 청춘이다.
외로우니까 청춘이다.
두근거리니까 청춘이다.
그러니까 청춘이다.
아프니까 청춘이다.

시작하는 모든 존재는 늘 아프고 불안하다.
하지만 기억하라 그내는 눈부시게 아릅답다.

남과 다르게~ 어떤 인생을 살아가든 인생의 주인공은 바로 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