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육쇼크 - 부모들이 몰랐던 아이들에 대한 새로운 생각 자녀 양육 시리즈 1
애쉴리 메리먼 외 지음, 이주혜 옮김 / 물푸레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아이에게 친구같은 부모가 되어야 한다. 아이가 원하는 것을 들어주는 관용적인 부모가 되어야 한다는 말을 자주 듣는 나는 좋은 부모는 아니다. 준비되지 않은 부모로서 겪은 시행착오가 많았기에 자녀 양육, 교육에 관한 책을 자주 읽게 되는 편이다. 읽고 나서 지금 읽은 것을, 지금 알게 된 것을 그 시점에 알았더라면 하는 생각을 자주 하게 된다.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빠른 법, 유아기가 아주 중요하다고 하지만 지금도 기회가 있다는 것에 위안을 삼고 좀더 나은 부모가 되어주고 싶다. 


양육쇼크는 우리가 피상적으로 알고 있던 양육법에 대한 이의제기를 하는 책이다. 어떤 주제는 어느 책에선가 접한 기억이 나고 어떤 주제는 정말 쇼킹한 내용이다. 검증되지 않은 연구결과를 확정적인 사실인양 공표한 것들도 있다고 보인다. 여기서 명심할 일은 다른 나라, 다른 가정에서 유효한 것이 곧바로 우리 아이들에게도 효과적인 것은 아니라는 사실이다. 그 어느나라보다 조기교육, 자녀 양육에 관심이 많은 나라지만 효과보다 부작용이 더 심해서인지 문제아가 늘어나고 있다. 애시당초부터 문제아로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문제부모가 문제아를 양산한다는 것이다.


이 책은 전세계 60개국 7천명의 과학자들의 연구결과를 담아낸 것이라 우리가 당연하게 받아들였던 양육법이 문제소지가 많다는 것에 놀라게 된다. 그리고 또 다른 생각도 든다. 이 책에서 문제제기를 한 양육법으로 성공한 사례도 있다는 것이다. 통제된 실험을 한다고는 하나 인간 자체를 완벽하게 통제하여 실험을 할 수 없는 것도 사실이지 않는가란 생각도 든다.


칭찬이 오히려 아이를 망친다는 1편에서 시작하여 다른 나라 이야기처럼 들리던 인종(다문화)문제를 다룬 10장까지 충격에 전율하기도 하고 2장 수면문제는 심각하게 받아들이면서도 우리 교육의 여건상 제대로 보장하기보다 오히려 책 내용보다 더 못자게 하고 있는 현실에 가슴이 아팠다.


재능을 칭찬하면 보다 어려운 문제에 대한 도전의식이 사라지고 오히려 점수가 떨어지며 재능보다는 과정에 대한 칭찬을 해야한다는 것은 익히 들어온바지만 실천이 잘 안된다. 너 머리 좋은 것 부모덕이다. 더 노력하라고 말하면 으례 들리던 반응.. 나도 나름 열심히 했거든요라고 한다. 칭찬의 방법에 문제가 있었다.


수면시간을 줄이게 되면 학습효과 저하는 물론이고 성장장애도 발생하는데 미국의 조사결과보다 더 못자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영재 선발의 문제는 맞는 말이다. 한번의 측정으로 낙인을 찍는 일은 없어야 한다.


이 책을 보면서 충격적인 것은 친구관계에 초점을 둔 책이나 비디오가 전투를 하는 공상과학물보다 더 나쁘고 책을 많이 보거나 어린이 학습용 비디오를 시청한다고 해서 언어능력이 배양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

자제심을 배양하는 장에서 소개한 율동언어와 마인드도구는 정말 흥미롭다.  


바른 아이, 학승능력도 뛰어난 아이로 키우고 싶은 부모가 그릇된 양육법을 고수한다면 일장춘몽이다. 아이는 그 시점에 필요한 것들이 있음에도 부모 욕심이 화를 부르고 있다.  그러나 지금의 우리의 현실은 양육쇼크가 지적하는 이상의 쇼크를 불러올 양육법을 강요하거나 강요당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싶다.



아이 혼자서는 도저히 해결할 수 없는 학습과제를 부여하고 아이들이 감당할 수 없는 공부를 강요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깊이 반성하게 만든다. 우리에게 현실이 된 다문화 문제는 미국 이상으로 심각한 문제점을 양산할 수도 있다. 끊임없이 반영되는 다문화가정 관련 광고나 방송이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인가는 되짚어 볼 문제다. 아이만의 문제도 아니요 부모만의 문제도 아닌 중첩적인 문제상황을 접하게 되지만 얼마만큼 아는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지금부터라도 그릇된 양육지식을 바로잡고 변화시키지 않는한 여전히 시행착오를 반복하는 부모의 모습에서 벗어날 수가 없다.


미국과 다른 우리의 현실에 낙담하지 않고 우리집 만큼이라도 양육쇼크가 준 충격타를 거울삼아 바른 부모, 바른 자녀양육법으로 키워야 하지 않을까.


양육쇼크가 던진 10가지 문제제기를 학부모는 물론이고 교육당국에서도 심각하게 받아들여 100년지 대계인 교육을 바로잡았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