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 버리기 연습 생각 버리기 연습 1
코이케 류노스케 지음, 유윤한 옮김 / 21세기북스 / 2010년 9월
평점 :
품절


쉽지 않다 생각을 버리라는 책 제목처럼 되지 않고 연신 오만 잡다한 생각들로 머리가 복잡해지기 시작한다. 왜 이럴까? 심리를 다룬 책을 읽을 때마다 매번 반복되는 현상. 놓여나지 못하고 묶여 있구나란 자각이 들지만 금방 또 다른 생각이 또아리를 틀고 나를 옭아매고 있다.

담배를 끊어야지 하는 생각에 골몰하기 보다는 담배를 피우지 않으면 좋은 이유를 생각해야 금연에 성공할 수 있다는 말처럼 생각버리기에 골몰하지 않고 평상심을 찾는 것이 첫 단추를 꿰는 일이란 생각이 든다. 눈과 귀, 코, 입, 몸, 그리고 머리를 자극하는 일들이 너무 많다. 일본의 젊은 스님이 자신의 체험속에서 우러나는 생각버리기 연습을 통해 나의 잡념을 완전히 물리치면 좋으련만 그기 어디 쉬운 일인가. 허지만 찰라의 순간이라 하드라도 가만히 눈을 감고 자연의 소리에 오감을 열어 두면 내 마음은 어느새 평온해 지는 것을.

부정적이고 자극적인 것에 휘둘리지 않고 매순간을 지낼 수 있다면 스트레스 지수는 팍팍 내려갈 것이다. 복잡한 지하철에서 몸이 부딪혀도 어쩔 수 없는 일로 받아들여야 함에도 순간의 감정을 다스리지 못해 욱하는 사람들을 많이 본다. 나 역시도 그런 경험이 없다고는 못한다. 부정적인 감정, 분노 등에 휘둘리다 보면 온종일 기분이 좋지 않는 일만 일어난다. 

말하기 보기, 듣기 등 8가지 대목으로 나눈 것중 감정일기를 매일 쓰는 것이 마음에 든다. 그리고  잡념을 일으키는 주요인으로 인터넷이나 TV에서 놓여나라고 하는데 지금 나는 또 인터넷으로 이 글을 쓰고 있다.

말하는 것부터 좀 더 다르게 하는 습관을 들여야겠다. 출근 길 잠념이 쉴새없이 떠오른다면 잠시 잠깐 멈처서 새소리 바람소리에 나를 맡겨보아야겠다. 어제와 다른 오늘의 나를 발견할 수 있을 것 같다.

마음이 평온해지고 싶다. 쓰잘데기 없는 생각을 하지 않으면서 살아가고 싶다.




'하면 안 된다'고 생각할 수록 뇌는 하고 싶어진다!

우리를 지배하는 쓸데없는 생각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법

 보통 우리가 아무리 생각하기를 멈추려고 해도 뇌 속의 수다쟁이는 끊임없이 떠들어댄다.

'자아 생각하기를 멈추자'
'뭐? 이미 생각해 버리고 말았잖아.'
'맙소사. 생각 멈추기가 왜 이렇게 어려운 거야?'
'그것만 어렵나? 어제 요리도 망쳤잖아.'
'그러고 보니 슬슬 배가 고픈데...,'
이처럼 아무리 생각을 멈추려 해도 마음을 피곤하게 만드는 정보의 소음은 계속된다.


우리의 뇌는 눈앞에 일어나는 일은 지나치게 평범한 일상이기 때문에 별 볼일이 없고, 부정적인 생각이야말로 자극적이라고 느낀다.
그래서 새로운 자극을 얻기 위해 부정적인 방향으로 생각을 몰고 가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이것이 바로 '생각병'이다.

 

사람은 생각하기 때문에 멍청해진다!
우리를 지배하는 생각을 멈추고, 오감을 사용하라.


 말하기 나를 위한 변명은 상대를 고통스럽게 한다

 듣기 이야기를 나누고 잇는 상대의 목소리에 집중한다.

 보기 나는 괴로운데, 상대는 괴롭지 않다는 오해를 버려라

 쓰기 희노애락에 대한 감정 일기를 쓴다.

 먹기 '하면 안 된다'고 생각할 수록 뇌는 하고 싶어진다.

 버리기 잃어버리는 게 두렵다는 생각이 사람을 멍청하게 만든다.

 접촉하기 일에 집중이 잘 안되면 촉감에 집중한다.

 기르기 항복하는 사람이 열쇠를 쥔다.

 출처: 생각 버리기 연습(코이케 류노스케지음, 유윤한옮김, 21세기북스펴냄)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