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똑똑한 사람이 어리석은 결정을 내릴까? - 의사결정에 관한 행동경제학의 놀라운 진실
마이클 모부신 지음, 김정주 옮김 / 청림출판 / 2010년 3월
평점 :
품절


사람은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는 경제 주체인가?란 질문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갖고 접근하는 행동경제학과 관련된 이론서들이 많이 출간되고 있다.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한다면 어째서 몸에 나쁘다는 담배와 술을 자발적으로 마시고 있겠는가? 선택의 다양성을 보장하고 수요과 공급의 법칙에 따라 조절되는 시장인가, 전문가의 주장은 항상 신뢰해도 되는 것인가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부호를 던질 수 있는 사건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불확실성의 시대를 현명하게 건널 수 있는 의사결정의 방안을 강구하는 행동경제학은 언제 읽어도 재미있고 실생활과도 접목되는 부분이 많다.

 

나는 나의 결정을 신뢰할 수 있는가?
그때 무엇을 했더라면 좋았을텐데, 이렇게 하지 않았더라면 좋았을 것이란 후회를 하는 것은 옮긴이가 말미에 적은 '실패는 사전에 깨달았으면 좋았을 것을 사후에 깨달았기 때문에 치러야 하는 대가이다'란 말이 귀에 쟁쟁하게 울리고 있다.

빅 브라운이란 경주마가 2개 메이저 대회에서 연속 우승하자 트리플 크라운 달성 가능성이 아주 높다고 했지만 결국엔 실패했다. 데이터를 자세히 분석하니 달성가능성은 아주 낮았다고 한다. 그런데 왜 사람들은 트리플 크라운 달성 가능성에 높은 배팅을 했을까?

기업이 인수합병을 하면 모든 면에서 낙관적인 기대치를 발표한다. 그런데 정작 합병이 성사되면 모든 계수가 평균이하로 떨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왜 똑똑한 사람이 어리석은 결정을 내릴까?는 제목처럼 어리석은 결정을 내리는 이유, 의리석은 결정을 내리지 않고 올바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책이다. 실패의 가능성을 줄여주는 책이라고나 할까.


빅 브라운이란 경주마의 사례처럼 사람들은 흔히 특정 문제에만 초점을 맞추고 가까이에 있는 정보, 편협하고 특별하게 제공된 정보를 토대로 예측하는 내부관점에만 주목하여 확실할 것만 같던 것에서 치명적인 실수를 범하거나 실패를 경험하게 된다.
이럴 경우 판단하는데 필요한 통계적 근거를 묻고 현 사건을 독립적으로 보깁다 비교할 만한 문제가 있는지 살피는 외부적 관점에서 사안을 바라보아야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사람들은 누구나 자신이 남보다 우월한 평균 이상이라는 착각, 자신의 미래가 다른 사람보다 밝을 것이라는 낙천적 착각, 우연한 사건을 자신의 통제하에 있는 것으로 간주하는 통제의 착각을 하고 있어 그릇된 의사결정을 하고 있다고 한다.
사기를 당하는 사람들을 보면 대부분 남의 말은 귀에 들리지도 않는 경지에 올라 사기를 당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을 자기가 통제가능하다는 착각, 눈 앞에 던져준 이익(로또의 상금에 눈멀어 당첨확률을 무시하는 것처럼)에 눈멀게 된다.

 

자신의 전화번호를 말하게 하고 어떤 상품의 가치를 매기면 전화번호의 숫자가 높을 수록 높게 평가하고
자신이 통제가능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평균 이상으로 가치를 높게 평가하여 땅을 치게 되는 의사결정을 하게 된다.

히트곡을 평가한 사례에서도 다른 사람들이나 상황에 따라 선호하는 곡이 달라지는 편향들, 설사 그것이 오답이 확실함에도 대다수 사람들이 선택한 정답에 동의를 하게 되는 상황들.

 

장기기증에 대한 조사를 한 결과 신청서를 쓰게 하는 독일에 비해 디폴트 옵션으로 가입하고 비동의시 탈퇴를 해야하는 오스트리아의 장기기증이 월등하게 높은 이유? 휴대폰을 구입할때에도 선택사양보다는 디폴트 옵션 그대로 구입하는 비중이 높은 것만 보더라도 종래의 이론과는 다른 선택을 한다. 이 책을 읽고 연달아 일고 있는 행동경제학의 창시자인 리처드 탈러와 법률가 선스타인이 지은 넛지란 책을 보니 선택설계자란 말과 자유주의적 개입주의란 말을 보니 바로 이해가 되었다.

사람들에게 선택의 다양성만 보장하면 비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이 최선책이 아니라는 것이다.

 

전문가와 일반인이 투자대회를 했는데 일반인의 수익률이 더 높았다는 것처럼 전문가라고 해서 100% 올바른 의사결정을 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펀드, 서브프라임 모지기, 우주왕복선의 폭발사건을 보면 확실히 입증된다. 대중의 지혜가 전문가 1인의 지혜를 압도한다는 말은 웹2.0의 시대가 이를 입증하고 있다.

 

이런 상황을 해결한 방법 저런 상황을 해결할 정답이란 생각을 버려야 한다.(우리나라 사람들은 이런 유형의 사람들이 아주 많은 것을 작금의 천안함 사건을 평가하고 사후처리를 이야기하는 주장들에서 특히 어느 한편의 사람들에게서 노골화된다. 세상이 많이 달라졌다는 것을 그들 스스로가 깨우치지 않는 한 쉽게 버릴 수 없는 고질병처럼 보인다.)

 

의사결정을 할 시점엔 한번 더 생각하는 것, 다른 사람의 입장에에도 서보고 피드백을 하거나 받고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한걸음 물러서서 바라보면 실수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운도 실력이란 말이 있다. 실력이 중요한 게임이 있고  실력도 있고 운도 따라야하는 게임, 운이 모든 것을 좌우하는 게임(룰렛, 로또)도 있는 법이다. 어떤 의사결정을 하든 자신의 생각이 100% 정답이란 생각을 버릴 때, 인간의 의사결정이 반드시 합리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받아들일 때 실패의 가능성은 그만큼 줄어드는 것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