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꾸는 다락방 Special edition - 내일의 성공은 꿈꾸는 자의 몫이다
이지성 지음 / 국일미디어(국일출판사) / 2009년 10월
평점 :
절판


 
'어떤 책을 읽던 그 책에 대한 애정을 갖고 읽어야 얻을 수 있는 것이 많아진다'는 모 소설가의 말처럼 자기계발서는 독서의 양보다는 질, 그리고 느끼고 깨달은 바, 그 책이 말하는 핵심요체 혹은 여러 책들이 공통점으로 강조하는 핵심을 파악하고 내가 부족한 부분을 되짚어 행동으로 실천해야 함에도 이런 저런 이유와 핑게를 만들어 읽는데만 그치고 있는 것이 나의 현재 모습이다. 

 
물론 나와는 다르게 자신을 변화시키고 인생의 일대 전환을 하여 성공하는 사람들도 많겠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더 많아 아직도 자기계발서들이 줄을 잇고 그것을 지적하기 위해 춤추는 고래의 실천편, 꿈다방 실천편처럼 실천을 강조하는 책이 나오고 있다.
꿈다방  R=VD의 성공방정식을 불신하는 사람들이나 실천을 하지 않은 사람들에게 실제 성공사례를 그들의 목소리를 담아 꿈다방 스페셜 에디션편을 다시 세상에 내 놓은 것 같다.

14년이란 긴세월 무명작가의 길을 극복하고 베스트셀러작가를 넘어 세계인들에게 꿈다방의 공식을 전파하는 작가의 반열에 오른 저자의 사례만으로도 꿈다방 공식이 생각하는 이상의 힘을 발휘한다.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어 출판사들이 원고줍쇼하는 꿈을 생생하게 꾼 작가처럼 나도 생생하게 꿈을 꾸고 싶어진다.
 

 작가의 노시크릿, 행복한 달인을 읽어 작가의 내공을 알고는 있었지만 이 정도로 많은 책을 읽고 다양한 사례를 두루 참고하고 조사했음에 입이 다물어지지 않았다. 이 정도 대가지불의 법칙을 실천하고 생생하고 꿈을 꾸었으니 오늘의 보상은 너무나 당연하다고 믿는다.

 

  솔직히 난 꿈다방을 읽지 않았었다. 책이 생각보다 늦게 온 틈새를 이용하여 꿈다방 1편을 읽었다. 하나의 주제에 집중한 책이라 다른 자기계발서를 읽었을때의 느낌보다 강렬하게 다가왔다. 꿈, 목표를 글로 적고 말로 외치고, 마음속에 생생하게 그리고 사진을 오려붙여 꿈에 풍덩 빠질 정도가 되어란 이야긴 아주 많은 자기계발서에도 언급되지만 꿈다방처럼 노골적으로 귀가 따갑도록 말하는 책은 처음이다. 느낌이 강해 매일 정해진 독서시간을 확장하느라 늦게 자고 일찍 깨어 이론편을 읽고 스패셜편을 손에 잡으니 더 속도가 난다. 내쳐 실천편도 단숨에 읽고 작가가 문제가 많은 책이라면 노시크릿을 내 반론을 전개한 론다번의 시크릿도 읽게 만들었다. 책임지세요 작가님.

 

'나는 부모님 때문에 안된다, 나는 돈이 없어서 안된다, 나는 얼굴이 못생겨서 안된다, 나는 좋은 대학을 나오지 못해서 안된다, 나는 비정규직어서 안된다, 나는 밀어주는 사람이 없어서 안된다, 나는 나이가 많아서 안된다, 나는 머리가 나빠서 안된다, 나는 의지가 부족해서 안된다, 나는 의지가 부족해서 안된다.' 209쪽

 

된다는 생각보다는 안된다는 생각이 많고, 사랑보다는 미움이 많았다. 오늘보다는 어제의 생각들에 발목잡히고 한계지우는데 익숙하다 보니  어린 시절 꿈 많았던 시절은 흐릿해지고 그냥저냥 무계획적이고 목표도 꿈도 없이 살고 있다. 그러면서도 간헐적으로 이랬으면 좋겠는데, 이것을 했으면 좋겠는데란 생각이 드는 순간 다시 이래서 안된다라는 제자리 걸음 오래 걷고 자포자기형 인간이 되고 어느 순간 최종 귀착지가 되어버린 이제 나이가 들어서 안된다. 돈이 없어서 안된다로 결론을 내리며 사는 나의 모습이 심히 부끄러워진다.

 

막연한 꿈을 꾸고 어느 순간 꿈을 접어버리고 스스로의 한계를 설정하고 발목을 잡혀버리고 포기해야 했던 순간 순간들이 주마등처럼 흘러간다. 그래서 아이들에게도 꿈다방을 강권하여 읽힐 생각이다. 너무 이른가.

R=VD는 이미 오래전부터 많은 사람들이 공식은 몰랐어도 스스로 깨우쳐 다른 사람들이 보기엔 무모하다 싶을 정도의 허황된 꿈(?)을 마음속에 새기고 글로 표현하고 이를 소리내어 말하고 그림이나 사진, 동영상으로 표현하고 자신이 서고싶은 장소에 서는 모습을 끊임없이 그리며 If you dream it, I can dream it. If you can do it, I can do it을 외치며 좌절의 순간을 극복하고 자신의 꿈을 이룬 사람들이 너무나 많았다는 사실이다. 그 사람의 성공은 알았으되 그 비결의 공통점은 간과하고 설령 알았다 치더라도 실천을 하지 않고 설마 될까 참말일까하는 의구심만 키워 그들은 성공하고 우리는 남들과 동일한 인생의 수레바퀴를 돌리고 있다.

 

에디슨의 천재는 ' I%의 영감과 99%의 노력으로 만들어진다'는 말을 우리는 후자인 노력에 방점을 크게 찍는 해석만을 들어왔다. 그것이 아니라네 1%의 영감, 꿈이 중요하다. 성공과 실패를 판가름하는 것은 재능이나 노력이 아니라 생생하게 꿈을 꾸는냐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꿈다방 스페셜 애디션은 거듭거듭 강조하고 있다.

 

우리말의 말이 씨가 된다. 만명의 사람들이 이구동성으로 말하면 현실이 된다는 아프리카의 말도 우리가 평소 던지는 말에 우리의 미래를 미리 볼수도 있는 것 같다.
말하는 대로 된다. 꿈꾸는 대로 된다. 생각대로 된다는 이동전화광고처럼 자신의 미래가 이러이러할 것이다는 것은 이미 그 사람의 평소 생각, 말에 은연중에 묻어난다.

R=VD를 실천하여 꿈을 이룬 사람들의 여정이 책에 소개된 몇줄의 글로는 담아내지는 못할 정도로 엄청난 간난신고를 겪으면서도 절대 포기하지 않은 열정과 몰입도 동시에 수반되어야 한다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꿈을 꾸는 데 그치는 것은 생생하게 꿈을 꾸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므로.
 

아인슈타인의 E = mc²대로라면 나란 사람의 에너지는 70(질량) x 300,000 x 100 x  300,000 x 100 = ? 계산기에 표현이 되지 않을 정도의 에너지를 지닌 존재다.
이렇게 엄청난 에너지를 가진 존재인 내가 못할 일이 어디 있겠는가. 그들이 했다면 나도 당신도 할 수 있다 지금의 현실에 발목잡혀 허둥대기보다 늦었지만 오늘이 나의 남은 인생의 첫날이고 가장 젊은 날이므로 나의 꿈은 무엇이고 그것을 생생하게 꿈꾸기 위해 신들메를 다잡아 메고 다시 일어서라고 꿈다방이 내게 요구하고 있다.

물론 100% 성공한다는 보장은 없다 해도 포기하지 않고 꿈을 생생하게 꾸는 것만으로도 나는 이미 큰 걸음을 내딛은 것이라고 믿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