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홍성욱의 과학 에세이 - 과학, 인간과 사회를 말하다
홍성욱 지음 / 동아시아 / 2008년 7월
평점 :
절판
최근 들어 과학적 상식지가 없는 사람들이 판단을 내리기엔 어려운 과학적인 문제들이 사회적인 이슈가 연이어 급부상하고 있다.
정부와 언론의 발표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여야 할지, 아님 반대 의견을 제시하는 시민단체나 언론의 주장을 믿어야 할지 혼돈스럽기 그지 없다.
황우석사태, 핵폐기장 건설, 새만금간척사업, 사패산터널, 천성산터널, 미친소 등등 어느 문제 하나 정부에서 원만한 해결책으로 매듭지은 문제는 하나도 없는 것 같다.
아직까지도 70년대식의 권위주의 정권의 병폐를 벗어나지 못함인지, 무식해서인지 정부에서 하니까, 권위있는 과학자의 작품이니 무조건 믿어라는 식의 문제해결법으로 국민의 알권리는 물론 행복권을 침해하고 있는 것이 비일비재하다.
홍성욱의 과학에세이는 과학과 윤리문제, 과학과 사회, 과학과 인문과학, 과학기술와 위험문제 등에 대한 명쾌하고 쉬운 논리로 해법을 제시한다. 소고기 정국의 책임당사자인 정부관계자들이 필독을 했으면 유모차부대까지 수사하려는 무리수는 없었을 것이라 보인다.
광우병 소고기의 위험성과 잘못된 외교정책을 바로잡아준 공로패를 주지는 못할 망정~~
선진국에서도 부지를 먼저 선정 발표하고 해결책을 모색한 프로젝트는 모두 실패했고 선정전에 협의를 진행한 프로젝트는 성공한 사례가 많다는 것을 교훈으로 삼는다면 이후 방사능폐기물(중준위이상) 처리장 선정작업의 방향은 크게 달라져 합의에 의한 선정이 가능하지 않을까 싶다. 모든 것을 돈으로 해결하려 들고, 밀어붙이기식의 정책은 언제나 국민의 저항을 불러온다는 것을 심각하게 인식해야 할것이다.
과학자가 인문학을 공부하고 인문학자 혹은 소설가, 미술가들이 과학을 공부했다는 사실은 이외다. 고대엔 학문의 영역구분이 없어 가능하다지만 아인슈타인을 위시한 굴지의 철학자와 과학자들이 과학과 철학을 깊이 공부했다는 것은 놀랍기만 하다.
현대에 들어와 같은 생물학자나 화학자라 하더라도 전공분야가 지극히 세분화되어 용어가 달라 말이 통하지 않고 우리나라의 과학자들 역시 국내 과학자간의 교류보다는 세부 전공이 동일한 해외 과학자들과의 교류가 더 빈번하다는 것은 통섭의 학문이 필요한 이유로 다가온다.
성과위주의 과학, 모든 것을 경제적 효과로 계산하려는 우리의 언론과 정부, 국민들의 지나친 기대감이 황우석 사태를 몰고 온 것이 분명하며 신드롬이라고 할 정도로 맹신하고 과학과 윤리의 문제를 이원론적으로 보는 입장들이 너무 강해 문제를 지적해도 무시하는 성향이 강한 우리의 현실, 기초학문보다는 실용주의를 우선시하는 현 풍토론 노벨상 수상자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저자의 주장은 백번 만번 지당하다는 생각이다.
초미의 관심사로 다가온 광우병 문제, 대운하에 대한 정부나 한나라당, 이에 동조하는 학자들의 위험을 확률로 계산하는-로또에 당첨될 확률보다, 벼락을 맞아 죽을 확률보다 광우병에 걸릴 확률이 낮다는 식으로 무해론을 주장-대응방식의 문제점과 이른 대응책으론 국민적 합의를 이끌어낼 수 없고 오히려 의혹만 증폭시켜 문제를 확대재생산하게 된다것이 현실로 입증되었다.
코앞에 닥친 문제가 커보여 아무런 대안없이 그린벨트를 해제하고 한다 안한다 말바꾸기를 하면서 언젠가는 밀어붙이기로 추진할 것만 같은 대운하사업, 작금의 미친소 문제도 밀어붙이니 촛불이 꺼져버렸지 않았나 하며 자신감 있는 행보를 보이는 현정부 필독서로 홍성욱의 과학에세이를 적극 권하고 싶다.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더 복잡다단하게 돌아가는 사회, 과학적 이슈든 경제적 이슈든 대다수 국민의 행복한 삶과 연관된 문제만큼은 학자적 양심과 윤리의식을 걸고 정부의 정책에 대한 의견을 소신껏 밝히는 학자들이 더 많아지고, 국민과 소통을 먼저하고 정책을 결정하는 정책입안자들이 더 많아져 위험을 확률로 계산하여 국민을 안심시키려는 몰상식의 극치를 보여주는 사람들이 더 이상 우리들의 리더가 되는 일은 없었으면 하는 것이 이 책이 내게 준 가르침이다.
책에서 밑줄긋기
새로운 기술이 야기하는 사회적 갈등을 해결하는 일은 쉽지 않다. 서구 선진국의 성공 사례를 분석해보면, 기술에 대한 낙관주의나 관료주의가 이런 문제를 해결한 경우는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대신 신뢰의 구축, 충분한 주민 참여, 정보 공개, 포괄적 보상 절차와 결과에서의 형평성, 장기적 정책과의 연관이 주민들로 하여금 위험한 기술을 받아들이게 하고 사회적 갈등을 줄일 수 있다. 우리가 실패했던 이유는 이러한 접근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 19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