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자격증이 필요해요 - 엄마학교 Q&A
서형숙 지음 / 큰솔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그저 타고난 모성애와 부성애 하나만 있으면 된다는 마음으로 시행착오를 거듭하고 아이에게 해서는 안될 말을 자주하게 되고 있는 그대로의 아이가 아니라 항상 남과 비교에 비교를 거듭하게 된다.

아이가 원하는 것을 다 해 주었다고, 아이를 위해서 무엇이든지 다했다고 자신하지만...


아이들이 의기소침해지고 점점 말이 없는 아이로 자라는데도 문제는 아이에게만 있다는 생각을 하면서 살고 있다. 부모 욕심을 앞세우면서도 "다 너 잘 되라고 하는 말"을 앞세워 잔소리 아닌 잔소리가 늘어만 간다. 어릴 적 말썽을 피우면 너도 시집장가 가서 너 닮은 아들(딸) 한번 낳아 보란 말이 요즘처럼 크게 들리는 적이 없다. 아이들이 산만하고 좀 모자란 듯 싶고 늦된다 싶은 것은 모두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것이지 아이 잘못은 아님에도 우리 아이에게 모든 문제가 있다고 하지 않는가 반성에 반성을 해야 한다.


"엄마 자격증"이 필요해요란 책 제목처럼 정말 자격증이 필요한 가장 중요한 분야임에도 우리는 아무런 준비나 교육도 없이 덜컥 한 아이의 부모가 된다.

 

역시 준비된 엄마, 좋은 엄마는 타고 나기 보다 부단한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것을 자녀교육, 엄마교육 전문가이자 엄마학교(www.momschool.org)의 운영자인 서형숙님이 지은 "엄마 자격증"이 필요해야 란 책을 보면 더 절실하게 다가온다.

이 책은 엄마학교를 운영하면서 접수되는 다양한 상황, 다양한 환경, 다양한 문제점을 안고 찾아온 엄마들과 상담하면서 답을 한 것을 묶어 만든 책이다.


엄마들의 고민사항에 대한 해결책과 자신이 두 자녀를 훌륭하게 키웠던 좋은 엄마되기의 경험담을 곁들여 교육이론이 아니라 경험에서 우러나는 해결방안을 제시해 준다.

 

어느 책에서 본 "문제아는 없다. 문제부모가 있을 뿐이다."는 말처럼 정말 아이가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 무엇보다 소중한 아이를 아이 자체로 보지 않고 부모의 삿된 욕심, 조급함이 문제아를 만들어가고 있다는 것을 나의 경험이나 이 책의 사례를 보면 쉽게 납득이 간다.

 

내 아이가 소중한 만큼 남의 자식도 소중하다는 생각, 아이가 늦되거나 학습이 부진해도 기다려주고 믿어줄 줄 아는 부모, 질책, 비교하기 보다는 칭찬을 잘하는 부모, 아이가 싫어하는 것을 시킬땐 게임과 놀이형식으로 꾸며할때 신나게 한다는 것을 아이사랑은 부모가 일방적으로 주는 것이 아니라 아이와 부모가 서로 주고 받는 것이란 것이 특히 기억에 남는다.

 

다정한 엄마는 아이를 살펴요
영리한 엄마는 아이와 흥정해요
대범한 엄마는 아이를 놔둬요
행복한 엄마는 아이와 웃어요 로 구성된 100여가지에 가까운 문제 상황별 해결방법을 현재 자녀문제로 고민중인 엄마 아빠가 함께 읽고 실천한다면 저자의 자녀들처럼 우리 아이들도 올곧게 성장하고 자신의 꿈나래를 마음껏 펼치며 성장할 것이라 믿는다.

 


책에서 밑줄 긋기

 

다정한 엄마는 할 것과 하지 말 것을 잘 알아요.

알고는 있는데 행동은 안돼요?
이제부턴 행하세요!


 

"꼭 하세요"



  1. 부드럽게 말하세요

  2. 말할 기회를 주세요

  3. 정확하게 표현하세요

  4. 번만 더 생각하고 말하세요

  5. 속마음을 전하세요

  6. 아이가 이해했는지 확인하세요

"하지 마세요"




  1. 걱정하지 마세요

  2. 비교하지 마세요

  3. 서두르지 마세요

  4. 화내지 마세요

  5. 아이보다 앞서 가지 마세요

  6. 아이한테 아이 맡기지 마세요(81쪽)

엄마 되는 법은 간단해요. 우리 엄마가 내게 해서 좋았던 것은 아이에게 하고,
싫었던 것은 하지 말고,
이렇게 해 줬으면 하고 바라던 것을 그대로 하면 되지요.
남 탓 하지 말고 내 탓 하지 말고 이제 일어설 때입니다. 칭기즈칸처럼

 

"집안이 나쁘다고 탓하지 마라.
나는 어려서 아버지를 잃고 마을에서 쫓겨났다.

 

가난하다고 탓하지 마라.
나는 먹을 게 없어 들쥐를 잡아먹으며 연명했다.

 

배운 게 없다고 탓하지 마라.
나는 이름도 쓸 줄 몰랐으나 남의 말에 귀를 기울이며 현명해지는 법을 배웠다.

 

적은 밖에 있는 것이 아니고 내 안에 있다.
나는 이를 극복하자 칭기즈칸이 되었었다."  21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