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로 교양하라 - 먼나라 이웃나라 이원복의 가로질러 세상보기
이원복.박세현 지음 / 알마 / 2011년 2월
평점 :
품절


 어린 시절 만화에 대한 추억 한 두가지가 없는 사람이 있을까?

 우리 어린 시절에는 동네마다 만화방이 있었다. 학교가 끝나고 돌아오는 길에 한 번씩 들르면 얼마나 행복한 세상이 나를 기다리고 있었던가. 어둑한 가게 안에는 연탄 난로가 있고, 그 위에는 물이 끓고 있었다. 여기저기 의자에 앉은 사람들(주로 아이들)은 고개를 숙인 채 독서(ㅎㅎ)에 몰두하고, 주인은 멍하니 앉아있거나 텔레비전을 보곤 했다. 애들 코묻은 돈을 벌면서 사는 게 힘들기도 했을 것이다. 가게의 미닫이 문을 열고 들어설 때의 그 죄스런 설렘이 떠오른다. 앞으로 얼마동안은 만화와 함께 행복할 것이지만, 그 뒤에는 어찌 될 줄 몰랐으니 말이다. 대부분의 어머니들은 만화 보는 것을 나쁘게 생각했고, 만화 가게 출입은 나름대로 큰 비행이었다. 그러나 뒷 이야기가 마냥 궁금한 것은 어쩌란 말인가. 푼돈이 조금 모이면 마음이 맞는 친구와 함께 들르던 추억의 그 만화 가게 출입은 고등학교 시절까지 계속되었다. 심지어 어떤 만화책은 일년에 한 권씩 발매되는 바람에 대학을 졸업하고 투피스에 하이힐 차림으로 만화를 보게 만들기도 했다. 그 유명한 시리즈가 완간된 것은 얼마 전이라고 들었다.

 그러던 만화가 이제는 부모님이 아이들에게 사서 권하는 수준으로까지 변했다. 바로 이원복 교수의 <먼 나라 이웃 나라> 덕이다. 이 만화를 처음 본 것은 아마도 이미 사회 생활을 시작한 이후였던 것 같다. 어린 시절 여행가의 꿈을 키우던 나는 늘 막연한 세계에 대한 동경을 가지고 있었다. 외국의 풍물에 관한 책들에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있던 차라 이 책을 쉽게 접할 수 있었다. 처음 펼쳐보았을 때 조금 낯설었던 기억이 있다. 그 간에 보던 만화들이 그림에 무척 치중하고 있었다면 이 만화는 글에 더욱 무게를 싣고 있었기 때문이다. 농담삼아  '만화답지 않은 만화'라고 부르며 이 책을 읽었다(본 것이 아니고). 한 권의 만화를 읽는데 걸린 시간은 예상했던 대로 좀 길었다. 내용을 꼼꼼하게 읽기도 했었고, 같은 페이지를 여러 번 읽기도 했었다. 줄글로 보던 역사 서적과 달리 쏙쏙 들어오는 지식들과 재치있는 입담들은 순식간에 내리 여섯 권을 읽게 했다. 그 후로도 가끔씩 찾아 읽던 그 책의 매력은 다들 공감할 것이다.

 아침 일찍 출근하는 나는 운전하면서 항상 라디오를 켜 둔다. 일상의 여러 소식들도 좋고, 상쾌한 음악도 좋고, 여러 사람들이 들려주는 다양한 정보도 좋아서 늘 즐겁게 듣는다. 매주 목요일이면 이원복 교수님의 목소리로 세계의 역사를 듣는다. 책처럼 목소리도 친근하고 이야기도 재미나게 하시는 바람에 즐거이 그 시간을 기다린다. 그러던 중 이 책 <만화로 교양하라>의 출간 소식을 들었다. 평소 관심이 있었던 지라 이 책을 읽게되는데 한치의 망설임도 없었다. 그의 다양한 모습들을 만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는 역시나 들어맞았다. 이 책의 쓴 박세현 작가는 이원복 교수와 일곱 번을 만나면서 여러 이야기를 나누었다는데, 책의 내용 대부분이 두 사람의 대담이었다. 이원복 교수가 다룬 여러나라의 이야기들을 질문과 대답을 통해 풀어간다. 따라가면서 예전에 <먼 나라 이웃 나라>를 읽으면서 들었던 내용을 떠올리기도 하고, 또 어떤 내용은 새롭게 알게되기도 하면서 이원복 교수의 재치있는 말솜씨를 라디오를 통해서 듣는 듯 싶었다. 그동안 라디오를 통해서 배운 지식과 함께 어우러지면서 새롭게 정리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게다가 오늘 아침 라디오에서도 마침 이원복교수가 나와서 일본 이야기를 다루었는데, 이 책에서 본 내용이 일부 나와서 반가웠다. 책의 뒷 부분은 이원복 교수에 대한 집중 탐구이다. 그에게 만화란 무엇인가에 대한 이야기와 인간 이원복은 어떤 사람인가에 대한 이야기들을 통해 이원복 교수에 대한 새로운 모습을 발견하고 더욱 가까이 느끼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물론 나와는생각이 다른 부분도 있고, 내가 상상했던 것과는 다른 점도 많았다. 그러기에 이 책이 더욱 갑지지 않을까? 내가 볼 수 없었던 부분을 일깨우고, 그러나 그런 다름에도 불구하고 참 멋진 사람임을 알게하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