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일기 - 절망의 수용소에서 쓴 웃음과 희망의 일기
조반니노 과레스키 지음, 윤소영 옮김 / 막내집게 / 2010년 12월
평점 :
품절


 이 책 <비밀일기>를 읽는 내내 영화 <인생은 아름다워>가 중첩되는 경험을 한 것은 나뿐은 아닐 것이다.

 영화의 주인공 '귀도'와 우리의 일기 주인은 얼마나 닮은 점이 많은지......  '귀도'에게 '죠슈아'가 수용소의 삶을 견딜 수 있게 한 힘이 되었듯이 '조반니노'에게도 '알베르티노'와 '카를로타'에 대한 사랑과 그리움이 삶을 이어나갈 힘이 되었던 것이다. 두 주인공은 우리가 지금 상상할 수도 없을 만큼의 비참한 수용소 생활을 버티면서도 늘 희망과 웃음을 보인다. 차라리 슬픈 그들의 웃음이 이 책과 영화에 가득하지만, 그저 맘 놓고 웃을 수도 없는 것은 그들이 겪어 낸 그 시간이 바로 '현실'이기 때문이다.

 이 책의 제목이 말해 주듯이 그저 일기인 이 책은 우리에게 독일의 만행과 그 역사적 배경이라든가 세계 정세의 흐름을 말해주지는 않는다. 과레스키가 왜 수용소에 갇히는 몸이 되었는지 조차도 주를 통해서만 이해할 수 있었다. 그래서 책의 흐름이 매끄럽다든가, 이야기가 흥미진진하지는 않다. 그러나, 그의 유머 넘치는 삽화와 수요소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에 대한 해학과 풍자는 읽는 이들에게 웃음과 함께 아픔을 전달한다. 아들과 딸이 꿈에 찾아 온 이야기에서 가족에 대한 그림움이 진하게 느껴지고, 감자를 나누어 먹는 포로들의 모습에서 어떻게든 공평하게 삶을 이어가려는 그들의 고뇌와 노력이 보여서 마음이 아팠다.

 그 곳에 갇힌 그들은 '단테'를 강독하고 법학 토론을 할 정도로 학식이 풍부한 사람들이었으나, 한 줌의 빵과 담배를 위해서 기꺼이 책을 내 놓는다. 그러나, 그들은 또 다 부서져 엉망이 된 소포를 끌러서 쌀과 밀가루를 구분하려 하고, 비누와 버터를 찾아 내려고 노력하기도 한다. 그들의 수용소 생활 장면은 영화의 장면을 바탕으로 다시 살아나 웃고 떠들었을 농담조차도, 혹은 과레스키가 아주 맑은 날이라고 표현 날, 더운 날이라고 표현한 날들이 있었음에도 오로지 춥고 비가 오는 더러운 곳에서 노동에 찌들어 지친 이들의 장면만 상상이 되었다.

 일기의 내용은 수용소 생활 중 그가 보고 듣고 느낀 것들에 대한 기록이다. 그는 수용소의 더러운 마당에 괸 작은 물웅덩이에서 바다를 보기도 하고, 독일인이되 착한 독일인인 장교에 대한 안쓰러움을 드러내기도 한다. 또한 극도로 굶주린 상황에서도 자기의 현실에 대한 해학을 잊지 않고, 이탈리아와 독일에 대한 풍자의 끈을 놓지 않는다. 오로지 과레스키의 마음 속의 일들과 혹은 수용소에서 일어난 거대하거나 한없이 사소한 사건들로 점철된 이 일기는 어쩌면 그 흐름이 매끄럽지 않다거나, 어쩌면 잠시 지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어차피 우리의 삶조차 지루한 것이니, 그의 처지에서 그의 눈으로 우리도 우리의 삶을 바라보는 법을 배우는 것도 좋을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