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혈액형 심리학 A형 - 마음을 움직이는 휴머니스트
스즈키 요시마사 지음, 이윤혜 옮김 / 보누스 / 2008년 6월
평점 :
절판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것은 어떤 까닭들일까?
상대의 마음이 어떤 때에 움직이는 지 알 수 있다면 인생의 큰 고민들은 사실 대수롭지 않은 문제들일 것이다.
내가 사랑하는 저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요인을 안다거나, 까다로운 내 상사가 어느 때 마음이 약해지는 지 안다면 살아가는데 뭐가 문제이겠는가 말이다.
그런 의미에서 여러가지 심리학들이 인기를 누린다.
그 중에서 가장 확률적으로 통계를 내기 쉬운 방법이 아마 혈액형에 따른 분류일 것이다.
누군가가 내게 혈액형을 물을 때, 농담으로 C형이라고 대답하곤 한다.
분류의 오류에 얽매이고 싶지 않은 작은 반항이라면 너무 확대 해석인 것일까?
같은 혈액형을 가진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특성에 매이고 싶지는 않은 것이 사실이지만, 알 수 없는 혹은 맘에 들지 않는 나의 특성들이 혈액형 탓이라고 한다면 은근히 마음이 놓이는 것 또한 사실이다.
나는 A형의 혈액형을 갖고 있다.
부모님도 모두 그렇다.
결혼을 하고 보니, 남편도 A형이다.
내 아이들도 A형이다.
알고보니 한국 사람 중에 가장 많은 게 A형이라고 한다.
A형은 소심하고 정이 많고 등등 혈액형에 관한 많은 편견들 중에 나와는 다른 것들도 많다.
어떤 때는 혈액형 검사가 잘못되었나 하는 의심도 했다.
이 책을 읽고 보니, A형도 다 똑같은 것은 아니란다.
A형에도 아홉가지나 되는 스타일이 있다.
여린 마음, 친절 과잉, 완벽주의, 다정다감, 엄격한, 군주, 친근한, 포커페이스, 챔피언 타입이다.
그 중에서 나는 어디에 속할까?
나는 여린 마음 + 다정다감 + 친근한 타입인 듯하다.
음 거기에 완벽주의적인 스타일도 있고하니, 사실 알고보니 그 아홉가지의 모든 스타일이 내 안에 다 있는 것 같다.
나의 혈액형에 관한 이야기이다보니, 실로 흥미진진하게 읽을 수 있었다.
혈액형의 정체성과 나의 입장에서 바라본 다른 혈액형들은 어떠한지, 다른 혈액형이 바라본 A형은 어떠한 지를 자세히 풀어주고 있다.
A형의 사람이 다른 혈액형과 만났을 때, 어떤 일들이 일어날 수 있을지 그 문제점과 대처법, 결혼 생활에서의 대처법도 좋았다. 특히 가족관계 내에서 자녀와 부모의 혈액형 조합은 자녀를 기르는 입장에서 참 도움이 되었다.
맨 마지막 장에서는 다른 혈액형들과의 사회적 관계를 설명하는 소시오그램을 보여주고 구체적 사례를 든 점이 흥미로웠다.
사실 가장 마음에 드는 것은 "A형의 편견 혹은 진실?" 이라는 파트였다.
각 장에 끝에 짤막하게 붙은 내용이었는데, 평소 혈액형에 대해서 갖고 있는 편견에 대한 전문가의 입장을 들을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다.
A형의 매력은 차분하고 호의적이며, 신중하고 섬세하고, 자기 성찰에 강하다. 겸손하고 다정하며, 따뜻한 마음을 지니고, 희생정신이 강하며, 융화를 잘하고, 차분하고 조용한 점이라고 한다.
물론 이 중에서는 나에게서 찾기 어려운 점들도 있다.
하지만, 평소에 갖고 싶었던 장점들이 사실은 나의 내면에 있는가보다.
그것만으로도 자신감이 생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