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
박민규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명소설인지라 책의 맨뒤에 있는 파란빛 종이의 작가후기부터 읽게 되었다. 작가가 아내 된 분과의 소소한 대화에서 미쳐 답하지 못했던 말로 이 소설이 시작되었다는 것과 이것은 거창하게 인간(여자) 외피의 아름다움 그러니까 외모지상주의에 대한 이야기가 그 발단이 되었다고 할 수 있으나, 소설의 맨 뒷장을 덮으며 느낀 소회는 그것이 반드시 외모만으로 한정지어지는 이야기가 아니라는 사실을 이야기하고 싶다. 

결국 이 소설은 인간이 가질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사랑 (아버지와 아들. 어머니와 아들, 여자와 남자, 부부, 친구사이) 이라는 감정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고, 받고 싶은 사랑과 하고 싶은 사랑에 천착하고 있으며 그것이 어떻게 시작되어 이후로 많은 사연과 악재, 고초, 즐거움, 흥분 등 인간 세상의 관계들 안에서 벌어지는 수많은 사건들에 어떻게 대면하고, 어떻게 처신하고, 어떻게 변해가고 하는 이야기다.

독자가 선택하도록 자유롭게 열어두었다는 소설의 결말도 좋았고 (둘 다 주제를 흐리지 않는다) 물론 해피엔딩을 선택하고 싶다. 여자가 쓴 편지는 절절하고 감동적이였다. 이 책은 많은 걸 생각하게 하는 소설이다. 왜냐면 외모를 우리가 알고 있는 스펙 중 많은 것들로 대체 가능하기 때문이다.  

사랑이란 참 흔하다. 정말이지, 사랑이란 무얼까?  "---여야만 --해. / ---만 아니면 --해. / ---해도 --해" 자신의 사랑에 대한 점검지 또는 리트머스 용지가 필요하다면 일독을 권한다. 지루하지 않다.  

멈춰선 그녀와 그녀를 향해 달려간 남자에게 오늘도 난 박수를 보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