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사랑일까 - 개정판
알랭 드 보통 지음, 공경희 옮김 / 은행나무 / 200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애정을 받고도 응답할 줄 모르는 남자를 사랑하는 한 여자의 슬픈 이야기_____이책이 눈에 띄는 점은 도표와 그림들, 역사적 인물과 철학자들의 경구들이 등장인물의 심리와 상황을 이해하도록 돕고 있다는 사실이다. 기본적으로 만남-희열-틈-갈등-폭발-해소-새로운 만남의 구조인데 이야기의 전개방식이 남녀 주인공에 한정되어 밀도있는 흐름이 아니라, 헤아릴려면 헤아릴 정도의 권위 가득한 이야기와 유명인들이 등장하여 상황을 친절히 설명해주고 해석해주곤해서 이해곤란으로 불편하기도 했고 어리둥절 하기도 했다. 또한 도표의 정리는 나름 훌륭했으나 그림들은 내용전달에만 주력했을 뿐 예술적 가치면에서는 평범했다. 신문 간지같은 단락 단락의 긴 설명글을 좀더 다듬고 밀도있는 대화가 그런 역할을 분담하는 구조로 설명 없이 미루어 짐작할 수 있는 수준의 술술 익히는 대화체 소설이였다면 좋았을 듯 하다. 그러나 보통이 엘리스라는 여자 주인공의 심리묘사와 사랑이라는 감정흐름의 탐구에 보통이 넘게 천착했다는 면에는 동의할 수 있을 것 같다. 

_____ 경제의 세계에서는 빚이 나쁜 것이지만, 우정과 사랑의 세계는 괴팍하게도 잘 관리한 빚에 의지한다. 재무정책으로서는 우수한 것이 사랑의 정책으로서는 나쁠 수가 있다 - 사랑이란 일부분은 빚을 지는 것이고, 누군가에게 뭔가를 빚지는 데 따른 불확실성을 견디고, 상대를 믿고 언제 빚을 갚도록 명할 수 있는 권한을 넘겨주는 일이다. 

종교는 만족이 미뤄지는 상태를 토대로 하여, 좋은 것은 항상 얻기 힘들며 은유적인 '초콜릿 케이크"는 피학적일 정도로 비싸다는  믿음으로 세운 심리 구조이다. 

궁극적으로, 오로지 앨리스는 잃어버리면 자신이 존재할 수 없는 것들 때문에 사랑받고 싶었다. 그녀에게서 빼버릴 수 없는 요소 때문에 사랑받고 싶었다. 사랑의 동기 중 덧없는 요소를 다 뺐을 때, 앨리스에게는 무엇이 남았을까? 육체와 지성과 가진 것들을 제하니, 어떤 사랑할 이유가 남았을까? 

비트겐슈타인의 주장을 빌리면, 타인들이 우리를 이해하는 폭이 우리 세계의 폭이 된다. 우리는 상대가 인식하는 범위 안에서 존재할 수 밖에 없다. 관계의 기반은 상대방의 특성이 아니라, 그런 특성이 우리의 자아상에 미치는 영향에 있다 - 우리에게 적당한 자아상을 반사해주는 상대방의 능력에 기초해서. _____ 

"키스해도 될까요?" 여자(또는 남자)가 물었다. 이에 대한 당신의 대답이 당신이 생각하는 사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