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분과 전체
지식산업사 / 2011년 10월
평점 :


자연과학, 특히 물리학을 배운 사람에게는 과학과 관련된 내용이 눈에 들어오겠으나 거리가 있는 분야에 종사해온 나와 같은 독자에게는 하이젠베르크의 인간적 기품과 그가 주변인들과 나누는 대화의 심도와 범위가 더 두드러져 보인다.

대화의 내용을 기억하고 복기하는 물리학자의 재생가능 기억력도 눈에 들어오는 대목이지만 가십과 휘발성 대화로 점철된 현대의 삶과는 사뭇 다름이 느껴지는 전원 배경의 풍경이다. 


과학은 사람이 만든 것이고, 또 과학은 토론을 통해서 비로소 성립된다는 사실을 말하며 하이젠베르크가 나눈 수많은 토론들이 이 책의 주요 내용이다.

(※ 과학에서 우리가 다루는 것은 자연(nature) 그 자체가 아니라 자연과학(science of nature), 즉 인간에 의해 철저하게 탐구되고 기술(記述)되어 온 자연이다.

_베르너 하이젠베르크 책"From plato to Planck" 中)


10. 우리들은 어떠한 어려운 문제에 부딪치더라도 자신의 의견을 세우는 데 두려움이라는 것을 몰랐다.


58. 일반적으로 말해서 '이해'한다는 것은 그것으로 굉장히 많은 현상들을 통일적으로 연관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는, 다시 말해서 '파악'할 수 있는 표상이나 개념을 갖는다는 것을 뜻한다. 

즉, 다양성을 일반적인 간단한 것에 귀착시키는 일, 바로 자네가 좋아하는 그리스 인식으로 말하면 '많은 것'을 '하나'에다 소급시키는 일을 우리는 '이해'하였다는 말로 표현하는 것이다.


77. 나는 오래전부터 정견은 큰소리로 선전하거나 실제로 달성하려고 노력하는 그 목표를 바탕으로 판단할 것이 아니라, 다만 그것을 실현시키기 위한 수단에 따라서 판단해야 한다는 것을 배웠기 때문이다. 

부당한 수단은 이미 그 수단을 사용하고 있는 장본인부터 그 명제의 설득력을 스스로 믿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었다.

(※ 모든 수단은 그 자체가 궁극적으로 실현할 목적과는 또 다른 직접적인 결과를 내포하고 있으며, 그런 의미에서 수단은 목적이 된다. 또한 모든 목적은 다른 목적을 위한 수단이 되기도 한다.

_하워드 진, 오만한 제국, 당대, 2001 中 34p.)


79. 전쟁이 쌍방에 얼마나 무서운 희생을 요구하며 얼마나 많은 부정이 쌍방에 의해 일어날 것인가를 알고 있었을 텐데도 한 민족이 순수한 감격에 도취되어 전쟁에 돌입해 간다는 것은 참으로 어이없는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227. 정치적 운동이란 큰소리로 외치며 실제로 달성하려고 하는 그 목표에 따라서 판단할 것이 아니라, 그 실현을 위해서 사용하고 있는 수단에 따라서 판단되어야 한다고 믿고 있습니다.


279. 예부터 내려오는 원칙, 즉 '악을 위해서는 허락되지 않는 수단이라도 선을 위해서는 허락될 수 있다'는 윈칙이 여기서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일까? 

즉, 선을 위해서는 원자폭탄을 만들어야 하고, 악을 위해서는 그것을 만들어서는 안 되는 것일까? 세계사에서 유감스럽게도 되풀이 관철되고 있는 이 견해가 여전히 옳은 것이라면 도대체 누가 선과 악을 결정하는 것일까?      

(※ 마키아벨리를 거부할 것, 군주에게든 대통령에게든 굴종을 용납하지 않을 것, 공공정책의 목적이 진정 누구의 이익을 위한 것인지 스스로 검토해볼 것.

우리는 정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이 지구상의 모든 사람들에게 똑같이 정의로운 일이 되는지 반드시 검토해 봐야만 한다. 

_하워드 진, 오만한 제국, 당대, 2001 中 53p.)


자기가 아는 것과 협소한 부분에 몰입되어 보다 넓은 전체를 포괄적으로 읽어내거나 이해하지 못하는 상황에 대한 경고의 의미로 "부분과 전체"가 이 책 제목이 된 건 아니였을까?

(※ (나치 독일의) 로켓 전문가 베르너 폰 브라운처럼 히틀러를 위해 일했던 과학자들 같으면 아무런 의심없이 국력을 위해 일했을 터이고, 따라서 자신들의 행위를 마키아벨리 만큼이나 당당하게 여겼을 수 있다. 그들은 '훌륭한 일'을 하는 데 힘을 쏟는 전문가들이였으며, 권력을 잡은 자가 누구였든지간에 그들은 그 일을 했을 것이다.

그래서 히틀러가 패배한 뒤 미군 정보부 요원이 브라운을 미국으로 데려오자, 그는 히틀러를 위해 그랬듯이 미국을 위해 다시 즐겁게 로켓을 만들기 시작했다. ...

(2차대전중 미국 원자탄 개발계획 맨해튼 프로젝트에 참여한) 이들 과학자들과 베르너 폰 브라운 사이에는 한 가지 공통점이 있었다.

일을 잘 해내거나 프로로서 유능함을 발휘하거나 과학적인 발견을 해냈을 때 찾아오는 순수한 기쁨으로 인해 그들은 자신들의 연구가 인류에게 가져다줄 결과에 대한 의구심을 잊을 수 있었거나 적어도 뒷전으로 밀어버릴 수 있었다.

_하워드 진, 오만한 제국, 당대, 2001 中 45~46p.)

  

최재천 교수의 말이 인간 지식의 시작은 '유추'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하이젠베르크가 살다간 그 시절, 나치정권과 2차대전 전후 독일 사회 모습에서 2022년 현재 우리의 상황을 유추하기에 충분하다.

(※ 영국의 소설가이자 과학자인 스노우(C. P. Snow 1905~1980)는 1961년 이렇게 썼다.

"인간의 길고 어두운 역사를 돌이켜보면, 반란이라는 이름보다 복종이라는 이름으로 저질러진 끔찍한 죄악이 훨씬 더 많음을 알 수 있다. 가장 엄격한 복종률 속에서 훈련된 독일 장교단(German Officer Corps)은 ... 복종이라는 이름으로 세계 역사상 가장 사악하고 대규모였던 전쟁행위에 동조하고 참가했던 것이다."

_하워드 진, 오만한 제국, 당대, 2001 中 74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