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의 약속
루스 퀴벨 지음, 손성화 옮김 / 올댓북스 / 2018년 1월
평점 :
절판


사물과 사람의 관계는 자본주의가 역사의 전면에 대두하면서 새삼 철학의 핵심 이슈로 부각되기도 했습니다. 인간 생활 곳곳에 물적 요소가 존재 규정의 본질로 침투하면서, 정신과의 주종 관계가 역전되기 시작한 것이지요. 이런 추세는 좀처럼 다른 방향을 틀 기미가 보이지 않다가, 환경 오염과 인구 폭증이 종전과는 차원이 달리하는 양상으로 일상까지를 위협하면서 전면 재고의 계기를 맞았습니다. 아마도 "변곡점"이라 할 만한 징후를 분명히 느끼게 해 준 트렌드는 미니멀리즘이 아닐까 싶습니다.


미니멀리즘은 물론 우리 동아시아인들에게는 문명사의 매 단계에서 깊은 공감을 유발하며 대두한 사조입니다만, 서양인들은 물질 문명의 폐해가 극단에 도달하고서야 비로소 그 가치를 깨달게 된 면마저 없지 않은 듯합니다. 책은 이런 복잡다단한 관계를, 저자의 지극히 평범한 일상 속에서 단초를 마련하여, 쉽고도 웅숭깊은 문장 속에 술술 풀어 놓고 있습니다. 그렇지, 그렇지 하며 책장을 술술 넘기는 순간, 사르트르, 카뮈, 릴케의 책들에서 훨씬 어려운 표현으로 접한 사상들이 나도 모르게 머리 속에, 가슴으로 가장 말랑말랑한 이해가 가능해짐을 느끼는 기묘한 체험이었습니다.

그랜트 매크래컨은 인류학자이자 이 책 저자 루스 퀴벨처럼 우리 시대 대중에게 널리 환영받는 작가입니다. 이 책 중에서 재인용된 그의 말을 한번 들어 보십시오. "대체된 의미로 이어지는 다리 역할을 한 물건들을 모두 구입한 후에도 이상(理想)이 여전히 실현되지 않은 상태라는 걸 알게 된다." 그 다음 말이 중요합니다. "그 순간, 인생도 바꿀 수 없는 것이 되어 버린다." 아무리 뭘 사 제껴도, 역시 다음 순간의 구매로 무엇이 이어지지 않는 한 불행과 불만족과 아쉬움이 꼬리에 꼬리를 문다는 뜻입니다. 무엇으로 이 공허를 채우겠습니까? p136 이하에는 마치 미니멀리즘 경전의 집성이나 시도하듯, 이 시대 명작가들의 인용구들이 역시 꼬리를 물듯 이어지는군요.

제임스 레이버는 이른바 "레이버의 법칙"으로, 인생의 특정 단계에서 어떤어떤 감정의 정리와 인격의 평정이 찾아져야 하는지를 두고, 마치 공자가 지천명, 이순, 종심소욕불유구 하듯이 재치 있게 정리한 말로 유명한 작가입니다(공자처럼 심각하지는 않지만). 이분의 경우 이 책에서 인용되는 맥락으로는, 누군가가 무엇을 사 모으는 건 느닷 죽음을 맞이하고 그 육신은 차디찬 관 속에 넣어져 머지않아 분해자의 과업으로 제공될 때, (비교적 오랜 세월 동안) 남겨진 "물건"들로 자신이 타인들에게 기억될 걸 대비한 활동, 선택, 결단이라고 합니다. 그럴싸하지 않습니까? 예전에 작가 윤흥길 선생은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라는 단편으로, 우리는 어느날 무엇으로 규정되고 기억될지 날카로운 포착을 시도한 바 있습니다. 이 쉬운 책, 그러면서도 의미의 각인이 매우 진하게 이어지는 책을 통해, 내 주변에 잔뜩 깔린 물건과 물건의 성(城)은 과연 무엇을 위함이었는지 한번 진득히 곱씹어 볼 일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