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편전쟁에서 5.4운동까지 - 중국근대사 인간사랑 중국사 1
호승 지음, 박종일 옮김 / 인간사랑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를 보는 이유는, 과거라는 거울에 현재의 모습을 비추어 보고, 동시에, 바르게 비춰진 현재의 모습을 바탕으로, 백설공주 이야기에 나오는 매직 미러처럼 미래를 통찰하기 위해서입니다.


만약 누가 혹시, 이 시점에서 중국의 근대사에 주목한다면, 그것은, 오늘자 경제뉴스에도 요란하게 보도된 것처럼 글로벌 증시에 미국을 밀어 내고 제 일의 비중을 굳혀 가는 중국이, 어떤 과정을 통해 현대의 모습으로 빚어졌으며, 어떤 궤도를 통해 어느 지점으로 향진할지 귀추가 주목되어서이기 때문이겠습니다.


혹여라도, 그 많고 많은 중국 근대사 개론서 중, 이 책을 애써 골라 자신의 이해 증진에 길잡이로 삼고자 하는 이가 있다면, 그는 현대 중국인들, 현대 중국의 공권력을 담지하는 권위 있는 당국, 현대 중국에서 가장 높은 학적 권위를 지닌 입장에서, 주체적이고 과학적인 방법론으로 서술된 역사, 중국사, 중국근대사가 어떤 모습인지 알고 싶은 열망에 가득한 독자일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 책은, 중국사회과학원 원장을 역임한, 당대 최고의 중국인 권위자 호승(胡繩, 후셩) 선생이 저술한, 중국 역사학계와 공산당 이론가 집단의 사적 이해를 총집결하고 대변하는 결정판격 정사서입니다. 본디 중국은 지난 역사를 서술함에 있어, 민간의 자의적 저술과 편찬에 제한울 가해 왔고, 당대 최고의 정제되고 박학하며 균형 잡힌 두뇌와 학덕의 힘을 빌려 공식 관사를 제작해 왔습니다. 중국 근대사를 공부함에 있어 그 교재로 쓰일 만한 책이 이 작품 하나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쁜 일상에 쫓기는 우리 한국인이, 이제 세계를 향해 웅비하는 저들 대륙인이 내재적 관점으로 스스로를 어떻게 보는지 알고 싶다면, 그리고 시간적, 자원적 제약 탓에 단 한 권만을 골라야 한다면, 이 책을 선택함에 있어 후회가 없을 것이라 자신 있게 추천합니다.


이 책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중국 최고 권위자의 압축적이고 집약적이며 정제된 서술로 이루어져 있다.

2) 평면적 사실 나열이 아닌, 각 사건과 인물들의 경과, 행적에 관해 입체적이고 유기적인 구조를 취하고 있다.

(* 이 점에 대해 부언하자면, 예컨대 아편 전쟁은 1840~42년에 벌어졌고, 사건의 수습이 채 이뤄지기도 전에 애로우 호 전쟁 등이 터지며, 연합군의 북경 점령이 1860년에 벌어집니다. 이런 외침을 일괄하여 시계열로 배열한 후, 다른 주제로 넘어가는 게 보통 사서의 구성입니다. 그런데 이 책은, 장의 편제가 정연하면서도, 교묘한 서술 운용의 묘로 태평천국 운동과 향용의 부상, 서양인의 침탈이 서로 밀접하게 꼬리를 물고 이어졌음을 그대로 드러내듯, 서술의 입체화를 기하고 있습니다. 이런 절묘한 구성은 양무운동의좌절과 중일 갑오 전쟁, 무술 변법의 실패,의화단 운동 시기를 서술할 때에도 다시 한 번 그 탁월함이 입증됩니다. 형식의 정제성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내용의 서사적 이해에 최상의 효율을 기하는 패턴입니다)

3) 오늘의 중국을 이끌어 가는 집권 엘리트들, 최고 교양 지식층의 세계관이 직설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4) 맑스주의 사관에 바탕한 뚜렷한 맥락이 전 분량을 관통하므로, 마치 대하소설을 읽듯 주제의식과 메시지 전달이 분명해 읽는 재미를 준다.


이런 특징을 모두 갖춘 책이라면 다소 지루하지 않을까, 획일화된 사관만을 강조하지 않을까 우려되는 분들은,  이 책 저자의 빼어난 문장력과 건전한 도덕 감정이 곳곳에 스민 내용을 탐독하는 사이 그 같은 선입견이 말끔히 걷혀지는 걸 체험할 수 있습니다. "혁명을 사랑하는 것은 평화를 사랑하는 것이다.(p632)", "봉건 통치자들의 절대 숙명은 계급 이해 관계의 보존이었기에, 제국주의 침략자들의 마수에는 길들여진 가축처럼 무능, 양순하다가도, 아래로부터의 변혁을 요구하는 민중의 몸부림을 진압하는 데에는 기계처럼 무서운 효율을 보인다." 이런 주장, 명제, 재인용들은 문, 사, 철 텍스르를 읽는 보람이 어디 있는지를 재삼 확인해 줄 만큼, 읽는 이에게 뿌듯함을 안겨 줍니다.


번역도 명쾌합니다. 예를 들어 주중 참사관을 지낸 엘긴 공작의 이름 표기에 있어서도, 많은 경우 현대의 관행에 따라 '엘진'으로 적고 마는 것을, 다소 관습에 어긋난 당시 해당 가문의 용례를 정확히 따라 "엘긴"으로 적은 것은 역자의 박학함을 드러냅니다. 방대한 분량이나 한 손에 들기 가벼운 반양자이며, 인괘가 미려하고 노출된 한자가 다른 글꼴로 설정되어 있어 가독성이 매우 좋습니다.


제 블로그의 아래 링크를 누르셔서 각 장의 상론을 읽어 주시면 이해에 작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전 27장에 대해 상세한 논의를 앞으로 펴 나갈 예정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