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태 ㅣ 푸른사상 시선 105
박상화 지음 / 푸른사상 / 2019년 8월
평점 :
맹그로브 킬리피쉬 라는 물고기가 있다. 맹그로브 숲에 사는 작은 물고기. 물이 마르면 근처의 나무에 구멍을 파고 물이 다시 차길 기다린다. 어느 과학자가 나무 속을 살펴보니 콩깍지 속의 콩들처럼 나무의 벌레 구멍을 채우고 있었다고 했다. 평소 영역다툼이 심한편인 어종인데도 나무 속에서는 공격성이 줄어든다고 한다. 나무 속에서 먹이를 구하고 심지어 단성생식을 하며 종족을 보존하기도 한다. 한마디로 기어코 사는 어종인 것이다.
‘동태’에 실린 시들은 모두 익숙하다. 비슷한 시간을 건너 온 탓이다. 가난과 허기와 좌절과 배척과 차별과 무릎 꺽임이 무시로 반복되며 매 순간 상처를 만들던 시기를 건너 온 탓이다.
텅 빈 뼈. 바닥에서만 피는 꽃,
어쨌든 쉽게 죽지 않는 질긴 의지. 절망했다고, 다 끝난 것 같다고, 철퍼덕 주저앉아버린 것 같지만 이미 손가락 끝은 땅을 밀어내고 있고 접힌 오금엔 힘이 들어가 살아내겠다는 의지가 자신보다 먼저 반응하는 질긴 삶. 물 마른 호수의 물고기. 금방 죽어버릴 물고기로 보이지만 기어코 살아내는 물고기 맹그로브 킬리피쉬. 다 빼앗기고 기억과 혓바닥조차 빼앗겨도 숨소리로라도 불러낼 노래. 시. 삶.
그런 몸부림이 노동에 뭉개진 아비의 지문처럼 새겨진 시집 ‘동태’
비바람이 불고 바다가 꿀렁거리는 날. 시뻘겋게 고춧가루를 풀고 동태 한 마리 넣어 끓이면 참 좋겠다. 서툰 절망 따위에 글썽일 때는 이미 지났으니까..
다만 살아낼 뿐. 저절로 살아지는게 아닌 기어코 살아낼 뿐.
동태
동태는 강자였다 콘크리트 바닥에 메다꽂아도 눈 하나 꿈쩍하지 않았다. 동태를 다루려면 도끼 같은 칼이어야만 했다. 아름드리나무 밑둥을 통째로 자른 도마여야 했다. 실패하면 손가락 하나 정도는 각오해야 했다 얼음 배긴 것들은 힘이 세다 물렁물렁하게 다뤄지지 않는다 한때 명태였을지라도, 몰려다니지 않으면 살지 못하던 겁쟁이였더라도 뜬 눈 감지 못하는 동태가 된 지금은 다르다. 길바닥에 놓여진 어머니의 삶을 단속반원이 걷어차는 순간 그놈 머리통을 시원하게 후려갈긴 건 단연 동태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