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둑맞은 손 - 살아있지만 인격의 일부라고 말할 수 없는 인간적인 어떤 것에 대한 법적 탐구
장 피에르 보 지음, 김현경 옮김 / 이음 / 2019년 9월
평점 :
도발적 표지와 제목에 끌려 구입해 읽게 된 책이다
며칠 전 읽은 '블랙미러로 철학하기'도 그랬지만 혹해서 구입한 책들이 엄청나다. 요즘 내가 책 고르는 눈이 생긴건가? 책을 하도 지르다보니 지름신도 지쳐서 딱 필요한 책만 고르게 한건가? 싶어진다
횡재한 기분으로 읽어가는 책
시작은 그렇다. 신문사 서평이나 출판서 서평에서 읽히듯 내 몸에서 잘려진 손을 누군가 임의로 처분했다면 이것은 절도인가? 하는 물음에 대한 방대한 대답인 셈이다.
절도라는 것이 성립하려면 손은 물건이어야 한다. 인체를 물건으로 보는 것이 맞는가? 그렇다면 시체는 물건인가?
사실 이 문제는 그리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딱 봐도 간단치 않은 문제인데..왜 이런말을 굳이..)
세계 최초의 시험관 아기가 태어나고 세상은 놀라움과 우려로 넘실댔다.
생명의 탄생은 신의 영역이라 생각했는데 그곳을 인간이 침범했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었던 까닭이다.
생명윤리랄지 신성에 대한 도전이랄지 하는 이야기들이 많아졌다.
그렇다면 인간의 몸, 인간의 생명을 무엇으로 보아야 하는가에 대한 근원적 질문이 시작되는건 당연하다
수혈의 예만 들어도 장기이식의 예만 들어도 그렇다. 판매가 아닌 증여라는 형식을 갖겠지만 그렇다면 내 신체는 물건인가? 누군가에게 내어줄 수 있다면 그것은 내 것인가? 증여받은 이의 것인가?
인간의 신체에 부여된 성과 속의 의미들에 대해서도 이야기 한다.
이것을 민법과 의료법으로 혹은 종교적 문제와 접목시켜 풀어내는 과정이 매우 방대하고 치밀하다.
고대 로마법, 유스티니아누스의 법전과 그 이전의 성스러움에 대한 기원까지 파고 들어가는 시간적 양만으로도 방대하기 짝이없다. 철학적 인문학적 인용과 논증은 이루어지지 않으며 오로지 성과 속에 대한 논증으로만 써내려간 글임에도 충분한 사유와 사고를 필요로 한다. 게다가 서사의 힘이 막강하다
대단한 사람이다. 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어느 부분에서는 '이거 완전 의식의 흐름대로 쓰는건가?' 라는 생각도 든다 . 하지만 이내 그것이 치밀한 장치였음에 놀라워하게 된다
역자가 혼자 읽다가 너무 흥미로워서 번역을 결심했다고 한다. 의료나 법에 대한 지식이 전혀 없어서 자문을 구해가며 번역했다고한다. 그 수고로움이 얼마가 되었든 감수하고라도 번역하고 싶었다는 의지였으리라
과연 그럴만 한 가치가 있는가?
있다.
내 몸에 대한 소유권, 그것은 내 몸에서 떨어져 나가도 가능한가? 가능하다면 잘린 손은 물건인가? 그렇지 않다면 잘린 손에도 인격이 있는가? 나의 인격이 잘려져 나간 신체에도 존재한다면 떼어낸 신체조직 일부가 어딘가에 전시되거나 더 잘려서 연구용이 된다면 나의 인격은 존중되고 있는가? 인격은 언제 존재하는가? 생명이 있는 순간동안이라면 생명이 사라진 이후에 시체를 (몸을) 파기하는건 괜찮은 것인가? 그렇지 않다면 시체조차 함부로 하지 않는다면 시체는 인격인가? 물건인가?
오래전 미라를 갈아서 약으로 쓰거나 성인의 관에서 나오는 물을 받아 마시거나 하는 일들이 종종 있었다고 들었다 그들을 치료한 것은 성인의 몸인가? 그의 성스러움인가? 전설의 고향에 나오는 아버지를 낫게 하기 위해 시신의 다리를 잘라온 며느리(아들?)를 단죄해야 한다면 그 죄명은 무엇이어야 하며 성인의 관에서 나오는 물을 마신이들은 어떻게 다른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물음과 현란하고 치밀한 답변이 과연 압권이다
적절한지 모르겠지만 '가차없는' 글이다.
여지를 주는 것 같지만 결국 그 여지를 닫는다.
쉽지 않은 질문이니 쉽지 않은 대답이 나오는 건 당연하다.
중요한건 나의 몸은 나의 소유인 것이 분명하다는 것.
그것을 놓치지 않고 읽으면 되겠다.
롤러코스터를 탄 것 같다. 할로윈 분장을 한 채로 말이다. 나의 코스튬은 시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