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굿판이건 굿판이 한술 벌어졌다 하면 이 새 옷이 너덜너덜 다 닳아지도록 춤을 춰야 하는 거라고, 사람의 뜻은 채가 되고 사람의 마음은 긴북(장구)이 되어 가분재기 휘몰아치는 휘몰이, 그게 바로 이 벌개 (사람이 사람으로 살 수 없는 세상) 따위는 발칵 뒤집어엎어버리고 사람이 사람으로 살 수 있는 벗나래(참세상)를 만들려는몸짓, 그게 춤이라는 걸세, 알가서?"
"사람들은 말이다, 빌뱅이가 찾아오면 식은 밥 한 술을 쪼개주고는 나누어주었다 그런다. 그것도 눈물겹게 아름다운마음이긴 하다. 하지만 가난은 말이다, 가난이란 그렇게 새름(정)만 나누어서 풀리는 게 아니란 말이다. 그런데 한 술 식은 밥이 아니라 솥째 빼주신 것은 무어냐. 그건 가난은 함께 갈라쳐야 할 거친 수렁, 사람과 사람의 새 름까지 삼키는 고얀 것들의 끔찍한 빨대, 그것을 그 뿌리부터 발칵 뒤집어엎어야 한다. 그런 뜻이란 말이다."
짐승들은 말이다. 한축(일단) 제 배지(배)가 부르면 더는 뚱속(욕심)을 안 부린단 말이다. 하지만 사람은 뺏을 건 다 빼앗아 먹고도 모자라 사람을 갖다가서 사람의 머슴으로 부리고끝내는 사람을 죽여서라도 내 것을 더 만들겠다는 그 끝없는뚱속이 짐승과는 마냥 다른 것이다. 그러니까 사람을 사람답게 만들려고 하면 말이다. 아무려나 사람부터 바꾸어야 하겠지만 사람과 사람 사는 이 살곳(사람이 사람으로 살 만한 곳)을 따로 떼서 생각하면 안 된다. 사람과 함께 사람의 이 얄곳(사람이 사람으로 살 수 없는 곳)을 아울러 바꾸어야 한단 말이다."
그것을 틀거리(체제)로 만들었다는 걸 알아야 한다네. 우리가 다 같이 똑같은 사람이면서 사람으로 살 수가 없는 이 벌 개(잘못된 세상)라는 게 그것이요, 그것을 한 묶음으로 다스리는 나라라는 게 그것이요. 그 나라를 한 오큼으로 거머쥔 쥘락(권력)이 그것이요, 이 벌개에 세울(도덕)이라는 것도 있질않나. 남을 속이지 마라, 남의 것을 훔치지 마라, 남을 헐뜯지말라는 세울 말일세. 그게 어찌 보면 말은 그럴듯하지. 하지만 그 세울을 알고 보면 그거야말로 말짱 거짓이라네. 남의 것을 빼앗은 놈들이 꺼이(감히) 남의 것을 넘보지 말라 니. 그것은 제가 저지른 짓, 다시 말해 남의 것을 빼앗는 빼대기(강도) 도둑질은 도리어 보듬고, 이와 거꾸로 그네들의 잘 못을 숨기려는 꿍셈(음모), 거짓의 제 모습이지 딴 거겠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