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은 어떻게 생기는 걸까? 아마 이게 의식을 생각할 때마다 부딪치는 기본적인 고민일것이다. 엊그제 주문한 책 선택의 과학을 출근하기전에 1장을 읽다가 놓치기 싫어 적어 놓는다. 

물론 이 책의 제목도 영향을 미쳤겠지만 저자는 앨런튜링을 20세기의 다윈과 견줄수 있는 인물로 친다.다윈은 어떻게 생명체는 그토록 다양한 적응을 할 수 있었을까?라은 미스터리를 해결가능한 문제로 바꾸었듯이 튜링은 어떻게 정신은 물리적상호작용으로부터 야기되었는지에 대한 미스터리를 해결가능한 문제로 바꾸어 놓았다는 것이다. 

정신의 계산이론(computational theory of mind)은 모든 단계적인 과정(알고리듬)은 기초적계산의 순서로 나타낼수 있다는 사실을 제시하고 증명했다는 것이다. 여기서 기초적인 계산이란 1을 하나 적어라! 0을 하나 지워라! 처럼 튜링은 이런 단순한 개념들을 가상의 장치 즉 오늘날 튜링기계라는 추상적인 기계의 형태를 만들어 냈고 이 새로운 구조물을 이용해서 어떤 숫자가 계산가능하다는것이 어떤의미인지를 보여주었다. 

바로 이점에서 내가 이해하기가 가장 어려운 부분이었다. 단순한 알고리듬으로부터 시작하여 의식에 대한 화려한 그야말로 물리적인 것에서 추상적인 정신의 탄생으로의 연결고리..... 

그것을 저자는 참으로 알기 쉽게 끌어 나가는 것 같다. 

튜링은 우리의 사고가 계산의 단계와 대등하되 다만 매우 구체적이고 생물학적으로 진화된 장치에서 가동된다는 점이 다를뿐이라는 것이다.  

"우리의 정신은 뇌 및 그 각 부분의 상호작용과 똑같은 것이 아니라 오히려 뇌가 지원하는 정보처리나 계산에 상응하는 것이라는 뜻이다" - 이 말이 포인트다. 

핵심적인 생각은 계산이다. '사고 같은'것들은 모두 우리 뇌의 물리적과정을 거쳐 저장되고, 처리되고, 변형되는 정보의 패턴들이다. 이것이야말로 추상적인 사고 같은 비물질적인 어떤것이 신경계의 물리적작동의 근저가 될 수 있는 이유이다. 우리의 정신은 우리의 뇌와 동치가 아니다. 정신은  우리의 뇌가 지원하는 정보처리 결과이다. 

이와 같은 생각이 바로 생물학적 반응인데 이것의 핵심적인 특징은 자물쇠와 열쇠처럼 상보적인 분자구조의 상호작용이라는 것이 라이너스 폴링과 막스 델브뤼크(노벨상수상자)의 주장이다 

즉 구조는 곧 기능이며 생체활성분자의형태는 그것이 상호작용하는 다른 분자를 규정한다. 즉 형태가 기능을 규정하는 것이며 그 생각은 구조는 곧 기능, 기능은 곧 계산이라고 할 수 있고 따라서 구조는 알고리듬으로 볼수 있다. 결과적으로 생물학적인 구조의 진화는 알고리듬의 진화이다. 

DNA는 두개의 사슬 중합체로,구조적이며 화학적인 특성에 따라 배열된 질소함유염기들로 만들어 진다. 하지만 DNA의 정말로 중요한 부분은 그것이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한다는 점이며 나노(nano)규모의 계산장치라는 것이다. (작성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