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더워 책을 읽을 엄두를 내지 못하다가 오늘 아침 일찍 밥먹고 집사람이 교회를 간뒤 지난 주부터 이 책을 몇번 들었다 놨다를 반복하다가 내가 좋아하는 이나스가 나오길래 그냥 읽기 시작했다. 의식을 생각할때마다 나도 모르게 갖고 있는 선입견이 있다. 의식은 안정적이고, 어떤 실체가 있는 것처럼 대우를 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의식에 대한 나의 선입견은 전에 읽었던 꿈꾸는 기계의 진화를 보고 나라는 정체성에 대한 의문을 계속 갖고 있었다. 말그대로 의식이라고 부르는 창조성이라고 부르는 활동의 밑바탕에 있는 신경과정은 합리성과 아무 관계가 없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뇌가 창조성을 생성해내는 과정을 아무리 들여다 봐도 합리적인 과정과는 거리가 멀다는 뜻이다. 의식은 이성에서 생겨나는 것이 아니다. 

이나스는 이야기 한다. 

대뇌피질과 시상(그는 의식 또는 자아의 신경적기초가 여기는 곳)의 상호작용뿐만 아니라 이것들이 피질아래의 운동핵(보행,면도,바이올린연주등을 하기위해 운동패턴의 생성에 필수적인곳), 특히 기저핵과 상호작용에 대하여 관심을 집중한다.그는 이런 운동패턴이 신경적으로 구현된 것을 가르켜 운동테이프라고 부른다. 이나스는 행동뿐만아니라 지각하고 기억하고 상상하는 정신적작용도 모두 운동으로 여긴다. 

기저핵은 자아가 테이프를 호명할때가지 항상 대기 하지 않는다. 사실 기저핵은 운동패턴과 그 사이의 패턴조각을 생성하면서 늘 활동한다. 그 리고 이 핵 사이에 재입력되는 억제돤 연결때문에 마치 연속적이고 무질서한 운동패턴 소음 발생기가 작동하는 것처럼 보인다. 여기 저기서 하나의 패턴이나 그 일부가 뚜렷한 감정적 대응물을 만들어 내지 않으면서 시상계 맥락안으로 슬쩍 들어 간다. 

내가 책을 읽다가도 갑자기 티비가 보고싶어 켜고, 갑자기 맛있는 맛집을 상상하면서 애들을 데리고 한참 먼 식당에 가고 싶은 욕구가 나듯이 가끔씩 내게 그냥 일어난다. 내가 상상하는 의식이라는 존재와는 한참의 거리가 있는 듯하다. 마치 의식을 신주단주 모시듯 변하지 않는 어떤 객체로 생각하는 것에 대해 우리는 아주 당연한 둣 생각하지남 실제 우리의 의식이라는 것은 휠신 변덕스럽고,정의하기 어려운 어떤 것이라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