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스 선생님의 수첩에는 무엇이 있었나? - 성공적인 인간관계를 만드는 대화의 시작 "입을 닫고 귀를 열어라"
페란 라몬-코르테스 지음, 김현철 옮김 / 북폴리오 / 2008년 4월
평점 :
품절


「막스선생님의 수첩에는 무엇이 있었나」를 읽고




성공적인 인간관계를 위해서 우리는 여러 가지를 갖추어야 하고, 실천해나가야 한다. 그리고 가장 필요한 것은 바로 대화이다. 대화가 없다면 서로 이해할 수 없고 사랑할 수 없기 때문이다. 우리는 평소 여러 경우 인간관계를 맺고 생활한다. 남녀 간의 관계, 친구간의 관계, 부부간의 관계, 부자간의 관계, 상사와 부하간의 관계 등 많은 관계 속에서 사회생활을 유지하면서 생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런 관계 속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서로의 원만한 대화가 이루어지는 가운데 생활이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다는 사실이다. 그 중에서 가장 피부에 와 닿는 것은 역시 부부간의 관계이다. 이 책에서도 바로 이 부부간에 벌어지고 있는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 주인공이 헤쳐 나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주인공은 이 해결을 위해 막스 선생님에게 도움을 요청하였고, 막스 선생님의 충고에 따라 ‘아내인 소니아를 설득하여 둘이 함께 바다로 나가는 여행을 하게 되면 행복을 부른 대화의 비결을 발견할 수 있을 거네.’라는 쪽지와 함께 받은 ‘항해 일지’라고 적인 낡고 닳은 수첩 한 권이었다. 그 이후 이 주인공은 아내를 설득하여서 바로 지중해 바다 여행을 하기로 합의 하면서 여러 준비를 하게 된다. 친구로부터 범선을 대여 받고, 특히 막스 선생님이 주신 빈 수첩을 꼭 휴대한 채 20 여 시간의 걸리는 항해를 드디어 아내와 함께 출발하는 것으로 소설은 시작이 된다. 오직 둘만의 시간을 통해서 사소한 것까지도 놓치지 않고 수첩에 기록하고, 서로 이야기들을 나누는 대화시간을 가지기로 단단히 마음먹고서 말이다. 항해를 떠나기 위해서 항구에 도착하여 준비하는 데 의외로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되자 아내의 불만이 있게 된다. 그러면서 서로 느끼게 된 것은 대화란 것은 반드시 필요한 순간에 있어야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대화에는 충분한 시간을 투자하여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것도 반성해야 하는 일이었다. 이런 식으로 아내와 멀어져 버린 아내와의 관계를 회복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을 이번 여행에서 찾고 싶었던 것이다. 배로 여행하면서 여러 경우가 도래하게 된다. 그럴 경우에 아내와 함께 나누는 교감에 의해서 그간의 여러 모습을 반성하는 계기가 된다. 바람을 따라 돛을 조절하는 것에 대해서는 상대의 말에 집중해야 한다는 사실을, 즉 상대방의 말에 귀를 기울이고 적절히 반응을 보내라는 것이다. 밤바다 여행을 통해서는 스스로의 감정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감정을 먼저 헤아리라는 교훈을, 폭풍을 만나서 위기감 속에서 항해를 할 때에는 감정적으로 판단하지 않고 이야기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라 의 교훈을 얻게 된다. 결국 최종적으로 항로를 바꾸어서는 시간이나 방향을 강요하지 말고 천천히 함께 걸어가야 한다는 사실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즉 부부간에는 보조를 맞추어 천천히 대화를 풀어나가야 한다는 사실이다. 이렇게 하여 드디어 종착지에 도착하게 되었고, 부모의 집 정원에 도착하여 막스선생님이 보낸 편지를 읽게 된다. 편지에는 흥미진진한 경험 속에서 스스로 뭔가 해답을 찾았을 것이고, 모든 사람의 대화 뒤에는 반드시 무엇이 숨어 있는지를 알아 차려야 한다는 것이었다. 만약 알아차리지 못하면 그 모든 것은 아무 쓸모가 없다는 것이다. 대화는 우리가 성장하도록 도와주므로 우리가 대화를 하는 것은 서로 사랑하기 위해서라는 내용이었다.

어쩌면 불가능할지 모른다고 여겼던 아내와의 마음 편한 대화를 시도하면서 큰 지혜를 얻어낸 주인공처럼 ‘행복을 부르는 대화의 다섯 가지 비결’을 시도해보았으면 한다. 시간을 충분히 투자하고, 상대의 말에 집중하고, 상대방의 감정 상태부터 파악하고, 감정적으로 판단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상대에게 보조를 맞추어 천천히 대화하라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비결을 통해 원만한 인간관계를 만들어 행복한 모습으로 생활해 나갔으면 하는 바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