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덕일의 역사사랑
이덕일 지음, 권태균 사진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7년 4월
평점 :
품절
이덕일의 『역사사랑』을 읽고
우리나라의 역사학계에서 가장 활발하게 저술 및 연구 활동을 하고 있는 저자의 새로운 책 “역사 사랑”을 상접하게 되었다. 예전 우리 시골에 할아버지, 할머니 시절에 부자로 살았을 때에 ‘사랑방’이 있었다는 이야기를 들었었다. 그래서 이 ‘사랑방’에서 지나가는 사람이 쉬어도 가고, 음식도 제공하고 했다는 이야기였다. 지금 이야기하면 ‘쉼터’인 셈인 것이다. 물론 그 이후에 아버님께서 사업 실패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그 ‘사랑방’ 사라져 버렸지만은 그 생각만은 뇌리 속에 박혀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 ‘사랑‘이 우리나라의 주거 문화 중에서 가장 독특한 한 공간으로 기능을 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서민과 반가의 ’사랑‘의 기능은 다르겠지만 말이다. 특히 사철 열려 있는 양반의 ’사랑채‘는 손님 접대 기능뿐만 아니라 교육기관 기는 등 다양하지만 공통점은 대화의 장으로서의 공론 형성을 할 수 있었다는 공간이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사랑채‘에서 있었음직한 우리 역사 속에서 있었던 많은 이야기들을 소개하면서 오늘 날의 시각과도 비교하고 있는 저자의 탁월한 혜안과 지혜에 박수를 보내는 바이다. 그 동안 막연하게만 알고 있는 역사적인 지식을 알기 쉽게 이야기 식으로 해석해주면서 또 그 내용을 오늘 날에 일어나고 있는 여러 사건들과 관련하여 그 연관성을 같이 이야기 해주고 있는 데에서 더 많은 것을 배우고 느낄 수 있는 것이다. 한 마디로 옛날 시대의 ’사랑방‘에서 이루어졌던 공론의 장이었던 대화의 구실을 글로 풀어 써주고 있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점이 저자의 탁월한 역사의식이고, 앞서가는 역사가로서의 작업인 것이다. 직업이 사회과 교사로서 올해는 중학교에서 담당하여 국사 교과를 가르치게 되었다. 솔직히 국사 교과서는 딱딱하기 이를 데 없다. 그래서 학생들이 별로 좋아하지 않는 과목 중의 하나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 ’역사 사랑‘의 내용들을 잘 활용해 나간다면 학생들에게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나에게는 개인적으로 아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한 것이다. 우리 역사는 우리 국민들이 정확히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좀 더 재미있게 공부할 수 있도록 이런 류의 책들이 많이 나왔으면 하는 생각도 해본다. 어쨌든 많은 우리 반만년의 중요한 역사적인 내용들에 대한 이야기들을 재미있게 익힐 수 있게 되어서 유익한시간이 되었다. 좋은 책을 만들어 준 저자와 출판사에게 감사의 말을 전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