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침 一針 - 달아난 마음을 되돌리는 고전의 바늘 끝
정민 지음 / 김영사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책을 대할 때, 많은 사람들이 가진 지혜를 얻기 위해, 공감을 얻기 위해 든다. 나는 또한 책은 이미 고전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믿는다. 저자들이 가진 세월의 무수한 경험과 깨달음의 순간이 그들의 책 속에 들어있다. 책은 그래서 오래된 생각, 그리고 그들의 삶이 가졌던 깨달음을 우리에게 전달해주고 있다.


 그래서 책을 대하는 순간에 나는 그 깨달음을 얻으려 애쓴다. 최근에 과거에 깨달음을 얻은 현자들의 목소리가 새로운 것을 찾는 것보다 더 새로운 일이라는 것을 알아가고 있다. 정민 선생의 '일침'은 우리가 알지 못해서 새로운, 하지만 이 세상의 어느 시공간에서 살아간 오래된 그들의 깨달음을 전한다. 저자는 이를 차고술금借古述今이라 한다. 과거를 빌려서 현재를 말한다. 독서는 무수한 이러한 행위의 반복일 것이다. 


 저자는 이 책을 세상에서 잃어버린 나를 위해 맞는 독한 깨달음이라 했다. 내가 이 책에서 얻은 깨달음은  이택상주麗澤相注 -두 개의 연못이 맞닿아 서로 물을 댄다-우리는 개인의 무수한 노력이 성공으로 향하는, 공부에서도 그러한 법칙이 성립하리라 생각한다. 하지만 현인들의 생각은 부족한 부분을 두 개의 연못이 서로 채워 같이 메마르지 않게 하는 아름다운 시각적, 실용적 진리를 말한다


 또한  상동구이尙同求異-같음을 숭상하되 다름을 추구한다-에서는 진리가 말하는 본질적인 핵심을 놓치지 않도록 않게 경각을 일으킨다. 전에 들었던 정민 선생의 강연에서 들었던 그 이야기가 다시 적혀있었다. 심입천출深入淺出감이후지坎而後止견골상상見骨想象 등의 말은 현재에도 우리가 꾸준히 들어왔던 말들이다. 몇 백, 몇 천 년의 세월이 지나도 언제나 새롭고 생생하다.


 아웃라이어에서 들었던 1만시간의 법칙, 10년의 세월이 전문가를 만든다는 이야기는 십년유성十年有成-십 년은 몰두해야 성취를 이룰 수 있다-에서 다시 볼 수 있다. 이렇듯 현재를 들끓게 하는 이야기들은 그 이전에 많은 사람들이 느끼고 감동했던 고전의 한 줄 속에 숨겨있다. 한자로 인해 원전에 대한 접근이 어려웠던 것에 대해서 저자가 다시 들려주는 현실을 향한, 나 자신을 향한 일침들에 감사한다.


 조선의 지식인에 대한 통찰력 있고 세심한 이야기에 대해서 감탄했던 독자라면, 이 100개의 수많은 일침들이 주는 날카롭게 현실을 직시하게 하는 공포와 그러므로 신독할 수 있는 순간들에 대해 생각을 많이 열어둘 수 있을 것이다. 세상을 살아가는 데 앞이 제대로 보이지 않고 희미한 순간이 온다면, 나 자신이 기댈 수 없는 곳에 서있다 한다면, 과거의 현자가 부드럽게 말하는 그 속의 독한 맛을 한 번 쯤 보는 것이 지당하다. 이 책은 그 순간을 가능케 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회적 자본 - 1% vs 99% 누가 양극화를 만드는가
KBS <사회적 자본>제작팀 지음 / 문예춘추사 / 2011년 12월
평점 :
절판


 그동안 우리 사회에 관해 분석하는 책들이 많았다. 또한 각 나라에서 일어나는 사회적 현상 또한 세계 각지의 학자들이 연구했다. 나에게 초점은 어떻게 더 좋은 삶을 살 것인가, 경제적 성장도 물론 필요하지만 지금 현재뿐만 아니라 평생을 불안하지 않게 살 수 있는 사회를 설명할 수 있는 책을 찾았다.


 최근에 느낀 중요한 사회적 요소를 집약시킨 것이 이 '사회적 자본'이다. 1% vs 99% 누가 양극화를 만드

는가라는 도발적인 부제도 인상깊었지만, 사회적 자본이 주는 것은 경제적 현상에 필요한 인간적 요소를 

설명하는, 우리가 그동안 잊었던 중요한 요소이다.


 사회적 자본은 우리가 사회적 동물이라는 중요한 전제가 깔려있다. 무한경쟁 속에서 살아남는 인간은 단독의 승리자일뿐이다. 우리가 남의 협력을 필요로 하는 것처럼, 우리가 남을 서로 돕는다면 총체적으로 더욱 좋은 결과를 낳는다는 것을 여러 실험과 학자들의 의견을 통해 현실에서 확인 할 수 있다.



“사회적 자본은 다른 것을 가능케 해주는 무형의 자산입니다.”

엘리너 오스트롬 인디애나대 정치학 교수, 2009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의 말이 가장 인상에 남는다. 많은 자기계발서들이 쉽게 이루지 못할 성공을 개인의 노력이 무한대에 다다르면 이룰 것이라는 교훈을 주려 애쓰지만 '아웃라이어'에서 설파한 것처럼, 운도 있어야 하고 기회도 주어져야 한다. 그런 다양한 변수중에 중요한 것은 전문가가 되기 위해 집중해야 하는 1만 시간이 개인의 힘이라는 것이다.


 사회적 자본이 있다면 우리는 손쉽게 우리 힘으로 일구어 내지 못할 기회를 잡을 수 있으며, 서로에게 더 좋은 결과를 선사할 수 있다. 그래서 저자들이 사회적 자본으로 손꼽은 것은 신뢰, 소통, 협력이다. 서로를 더 잘 알고, 도울 수 있는 세 가지 핵심어들은 우리가 손쉽게 생각하고 넘어갈 수 있는 평범한 단어이지만 이 세 단어가 현실에서 발휘하는 힘은 크다.


 한국 사회에서는 갈등을 다루는 능력이 현저히 떨어진다. 갈등분쟁을 조정하는 위원회에서 서로의 이야기를 듣는 것 만으로 70%가 넘는 케이스가 해결된다니 우리는 '어떻게 원하는 것을 얻는가'의 상호 거래를 위한 요구의 충족을 떠올리게 한다. 한국 사회의 갈등이 70% 수준으로 해결된다면, 서로를 신뢰하고 소통할 기회가 늘어난다면, 그리고 진정한 협력이 이뤄진다면 많은 사람들이 좀 더 살기 편해질 것이다.


 총선 이전에 이 책을 읽었지만 서평을 쓰면서 선거결과를 생각한다면, 스웨덴의 정치박람회 같은 제도가 있었으면 한다. 집권당이나 야당이나 정치인들과 사회적 변화를 원하는 유권자들을 서로 직접 소통하게 한다면 서로 원하는 바를 이룰테고 우리가 개인의 힘으로 도달하지 못하는 사회적 제도를 보다 손쉽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정치부터 사회의 사소한 한 부분, 지갑을 잃어버렸을 때나 가로등 같은 일상의 문제에서도 1%가 아닌 99%의 많은 사람들이 모두 다 함께 살 수 있는 '사회적 자본'을 항상 인식하였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위대한 정치 반드시 알아야 할 50
벤 뒤프레 지음, 이경희.박유진.이시은 옮김 / 지식갤러리 / 2012년 2월
평점 :
절판


 때로는 개념 혹은 단어 그 자체가 그 안에 숨겨진 본질을 압도할 때가 있다. 어떠한 논의를 시작하기도 전에 무기력함. 염증을 불러일으켜 토론이나 대화 자체를 막아버리는 것, 내 생각에는 '정치'가 최고다.


 우리 나라의 정치는 흔히 말하는 민주주의로서의 정치는 1945년 이래로 시련을 많이 받았다. 우리가 더 잘살기 위해 꾼 꿈은 어느 순간에서인가 무너져 버리고 그런 순간들의 반복으로 정치는 그 본질적 의미보다 우리의 슬픔과 무관심을 더 빨리 촉발시켜 왔다.


 하지만 우리는 어느순간에서부턴 일상에 가해지는 억압, 개인이 아무리 해도 도달하지 못하는 무력의 형체를 향해 고민하기 시작한다. 그 근본은 우리 개인에게 모두 다 나눠진 권력의 오용 및 남용이다. 권력을 가지고 있는 자는 그들이 아니라 우리다. 우리는 이런 당연한 우리가 주인인 권리인 '주권'조차 '정치'의 일부분이라는 이유만으로 생각하는 것조차 포기하기 시작했고 다시 고민하기 시작했다.


 이 책의 저자인 벤 뒤프레는 영국 옥스포드대에서 고전을 가르치고 옥스포드대 출판부에서 어린이 참고서 또한 만들었다. 어렵고 관념적인 철학 등 사상을 대중화한 그가 '들어가는 글'에서 이야기한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한 인간의 정의에는 엄숙함, 정치가 가지는 염증보다 정치가 필요한 이유, 그 근본철학을 상기시킨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을 '정치적 동물zoon politikon'로 정의한다. 그가 보기에 사람들은 그리스의 도시국가, 즉 '폴리스polis(정치politics의 어원)'라는 맥락 속에서 자신을 가장 잘 표현해내기 때문이다. 폴리스는 말하자면 정치적 동물의 천연 서식지다. 그곳에서 그들은 서로 도와가며 법과 제도를 세워 사회질서와 정의의 기반을 마련한다.


 우리는 서로 싸우기 위해 정치를 택하지 않는다. 우리는 서로 돕기 위해 법과 제도라는 공통의 합의된 규율 아래서 사회질서, 정의의 기반 위에서, 자유롭게 사는 것과 공동체를 이뤄사는 것과의 균형과 조화를 꾀한다.


 우리는 빼앗긴 권력이라는 박탈감보다 서로 돕기 위해 정치가 필요하다는 그 근본적인 이유 한가지를 명심할 필요가 있다. 정치와 동일한 개념처럼 들리는 권력은 동일어가 아니다. 정치는 단지 아리스토텔레스의 또다른 말처럼 자유와 행복을 위한 것이다.



우리가 정치적으로 살아야 하는 이유는 세상의 좋은 것들을 어떻게 분배해야 하는가, 누가 누구에게 권력을 행사할 수 있으며 그런 권력에 대한 보편적 합의가 없기 때문이다. 

 ... 정치적 개방 사회에서 유일하게 보편적인 합의는 차이를 용인한다는 합의다. 그러므로 정치란 곧 타협의 요령 혹은 기술이다.


 

 이 책은 그래서 정치를 잘하기 위해, 합의하기 위해 필요한 50가지의 생각들을 모았다. 그 모두가 장미빛 미래를 보여준 것은 아니다. 정치이론에서 등장하는 자유, 정의 평등, 인간, 유토피아니즘, 혁명 또한 어떤 이들은 그 속에서 더 잔인한 미래를 보았다. 또한 공화주의 ,자본주의, 자유주의. 공산주의, 사회민주주의, 파시즘 등의 이데올로기를 이야기함으로서 당대의 보편적 합의가 되었던 정치의 이데올로기에 대해 설명한다. 정치제도와 현재에도 치열하게 대립하고 있는 정치쟁점, 정치무대 등 당연하게 우리 현실 속에서 존재하지만 구체적 이야기가 필요한 생각들이 들어있다.


 우리의 정치적 선택은 이성보다 감성이 앞서나갈 때가 있다. 하지만 그러한 우리를 움직이게 하는 감성의 힘을 제대로 이용하고 방향을 옳게 잡기 위해서는 이성이 필요하다 .또한 사유가 필요하다. 이 책의 필요성은 많이 불리고 있지만 정확한 이해가 필요한 생각들을 설명함으로써 우리의 합의를 돋는다는 것이다. 또한 정치사상 속에 이미 선구자들이 던진 혜안과 명언들은

우리가 사는 현실을 시간을 뛰어넘어 다른 시선에서 찌르기도 한다.


 이 책 또한 그 효용성은 2012년 대선과 총선에 그 빛을 다할 것 같다. 더 많이 알고나서 자유와 행복을 위한 더 나은 삶을 위해 그리고 그 꿈은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이루어나가야 한다. 그리고 권력에 대해 좋은 것들이 어떻게 나눠가지는지 고민해야 한다. 그것이 이 사회를 살아가는 권리를 가진 사람이 다해야하는 의무이다.


  한 번이라도 깊이 생각해 볼 50가지의 개념들을 총체적으로 볼 수 있는 기회를 주는 책을 통해서 우리의 꿈이 또한 그 빛을 볼 실마리를 얻었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투표한다, 그러므로 사고한다 1881 함께 읽는 교양 12
장 폴 주아리 지음, 이보경 옮김 / 함께읽는책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출판시기의 한국에서의 번역시기는 기묘하게 맞닿아있다. 이 책이 반향을 끈 2007년은 프랑스의 대선을 앞둔 시점이고 이 책이 한국어로 번역된 올해는 대선 그리고 그에 앞서 총선이 있다. 현재 2012년 4월 10일은 대한민국 제 19대 총선 하루 전날이다. 


 선거에 대해, 그리고 정치에 대해 우리는 많은 기대를 하지만 그에 비례하여 실망을 많이 한다. 우리의 생각을 대신하여 우리의 이익을 대변해줄 듯한 이들은 결국 더 큰 이들의 이익에 대해 비굴해지고 우리의 의지와 의사와는 반하는 결정을 내려서 무력감과 염증을 일으킨다. 그래서 많은 이들의 투표 기권에 대해 더이상 탓하지 못할 때도 있다


 하지만 우리는 수많은 경험을 통해 다시 투표와 민주주의의 가치, 그리고 일상생활을 지배하는 큰 힘을 다시 바꾸어야 한다는 필연성을 깨닫는다. 그래서 4년마다 주기적으로 5년마다 주기적으로 우리는 다시 그들의 힘을 빼앗는다.


 이 책에 대해서 나는 읽기도 전에 많이 기대를 했다. 우리의 생활을 정말 근본적으로 변화시킨 1789년 프랑스대혁명이 일어난 바로 그 국가의 철학자가 쓴 책이기 때문이다. 왠지 모르게 민주주의를 우리보다 몇 백년 더 일찍 경험하고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을 그 세대들의 철학 사상의 계보를 이 철학자의 이야기 속에서 듣기를 원했다.


 또 하나는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사유률 내보이는 프랑스 철학책들의 리듬감 있는 서술방식이었는데, 프랑스 대입시험인 바깔로레아에 대한 서적들을 보면서 그들의 의견이 매우 궁금해졌다. 그래서 읽은 이 책의 저자 장 폴 주아리는 결코 실망시키지 않았다.


 일상의 어려움, 개인의 무한대에 가까운 노력과 열망에도 불구하고 해결되지 못하는 문제는 가끔은 사회적 구조, 그 숨겨진 권력을 파악하게 되는 동기이자 원인이 된다. 우리는 단순히 'A는 B이다'식의 정의 혹은 단순한 인과관계보다 더 복잡한 일을 파악해야 할 때가 있다. 그 대상이 실체를 드러내지 않을 때, 혹은 복잡하고 예측불가능한 것일 때 말이다. 이 책은 그 대상을 민주주의와 정치로 이야기한다.


 14가지의 정치적 명제들과 저자의 서술을 전혀 복잡하거나 어려운 서술로 기존 철학서가 보여주는 괴리감을 드러내지 않는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로크, 홉스 등 철학자의 이야기는 마치 당대의 지식인이 이야기하는 부담스럽지 않게 적재적소에 합당한 맥락에 그 모습을 드러내어서 매력적이다. 14가지의 주제를 이야기하는 것 또한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각 챕터의 마지막 부분은 드라마의 마지막 장면처럼 절묘하게 다음 질문과 생각을 이끌어낸다.


 이 책의 효용은 내일 총선보다 이 책이 주목을 받았던 대선시기에 더 유용할 듯 하다. 왜 우리는 정치에 무기력감을 느끼는가? 과연 우리가 맡긴 것이 우리의 의사와 의지 전체인가? 그들이 우리를 대신한다는 것을 어떻게 확인할 것인가? 명쾌한 이성의 사유가 먹히지 않는 사람들간의 공감은 어떻게 이끌어 내어 우리는 정치와 투표로 세상을 변화할 것인가? 최소한 이러한 기본적인 사유들을 통해 일상에 자연스럽게 침투한 권력과 그 의의에 대해 이야기한다.


 마지막으로 이 책을 읽으면서 공감했던 많은 부분 중의 한 부분을 인용한다


... 정치가 고찰과 논의와 인간 행동으로 한 번에 모든 것을 새롭게 바꿀 수는 없지만,

정치의 전제는 여러가지 상황의 흐름을 내가 원하는대로 이끌고 바꿀 수 있다는 데

근원하기 때문이다...  (p.89)

 

 일상을 이끌었던 많은 부분에서의 불편함을 한 번에 바꿀 수는 없어도 우리의 투표는 우리의 방향을 다시 잡고 원하는 방향으로 이끈다는 것을 꼭 잊지 않았으면 좋겠다. 그래서 우리는 사고함으로써 이 중요성을 깨닫고 '투표'로써 세상을 변화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인분 인생 - 진짜 나답게 살기 위한 우석훈의 액션大로망
우석훈 지음 / 상상너머 / 2012년 2월
평점 :
품절


 우석훈, 그의 이전 활동에 대해서 잘 모르지만 그가 만든 용어 하나는 기똥차게 20대의 현실을 직시하게 했다. 88만원 세대, 유럽에는 100유로 세대가 있다지만 아무튼 그의 그 용어에서 알 수 있는 20대의 비참한 현실은 점점 경각심을 일깨우는 데 한 몫을 했다고 본다(그래서 그가 이번에 한미 FTA 항의로 결정한 절판 소식은 정말 아쉽다)

  

그가 내놓은 에세이집은 그래서 생각보다 더 소박한 제목이다. 1인분 인생이라니, 식당 메뉴가 떠오르는 그의 책은 이 사회에서 1인의 몫을 충분히 다한 사람의 이야기로 읽을만 하다. 물론 그가 '나는 꼽사리다'에 출연하면서 얻은 인기도 한 몫을 하겠지만, 책을 읽고 나서 더 자세히 알게되는 그의 단상은 많은 사람들이 쉽게 공유할 만 하다.


 그가 가진 경력은 다양하다. 대학을 졸업한 후 경제학에 뛰어든 그는 파리 10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UN 유엔 기후변화협약의 정책분과 의장과 기술이전분과 이사를 맡기도 했으며, 현대에서 근무를 하기도 하며 공직에 있기도 한 다양한 조직의 삶을 맛본 사람이다. 한 때 정부에 몸담았을 때, 그가 결정하는 예산의 액수가 1조원 대라고 하니 과거의 권위에 젖어도 할 말이 없을 듯 하다.


 하지만 그가 그 자리를 내려놓고 아무도 관심을 안가지는 비주류중의 비주류 인생을 살면서 그는 고달파졌지만 그의 인생은 1인의 빛나는 인생을 하게 된 것 같다. 그의 부모님의 전형적인 우파로, 조선일보를 신봉하는 세대이기도 해서 만약 그가 우파 인생을 살았다면 호위호식 했겠지만 그와는 정반대의 힘겨운 길을 걷는 이유가 궁금해지기도 했다. 이 책에서 그러한 이유를 듣게 되었다. 


 또한 이 책에서 프랑스 학자나 그가 경험한 대학에서의 새로운 이론들을 듣게 되는 것도 나의 호기심을 충족시키는 것들 중의 하나였다. 디디에 앙지유didier anzieu라는 프랑스 심리학자가 이야기한 피부적 자아 lemoi-peau는 미성숙한 사람들이 살아가는 방식을 설명하는 데 도움을 줄 개념이다. 테제는 생물학적으로 우리 자신을 구분하는 것은 피부로서, 피부 안은 자기 그리고 피부 바깥은 나 아닌 것으로 인식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자신을 규정하는 피부를 갖지 못한 이들은 사회적 존재로 사회적 피부를 남이 이미 만든 피부를 자기 것으로 빌려쓰는 미성숙함을 보인다. 


 국가를 피부로 인식하는 사람, 혹은 기업 이나 자기가 있는 조직의 피부를 빌려 자기 자신으로 인식한다는 것에서 한국 사회에서 이해 못했던 계급배반적 행위도 이해할 수 있는 방식을 찾게 된 것 같다. 혹은 다른 사람은 자신이 걸치는 것을 사회적 피부라 생각하는데 자세히 생각해 볼 것은 우리가 유통자본의 힘에 지배당해 마케팅 사회의 피부를 걸치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이러한 이들에게 헨리 데이빗 소로우의 <월든>을 추천하며 자신의 존재의 의미와 자존심에 대해 생각해 볼 것을 권한다


그가 경험한 다양한 조직과 해외 경험으로 우리 자신을 객관화시킬 수 있는 눈을 엿볼 수 있다. 우리보다 2배는 더 노는데 소득은 4배 높은 노르웨이나 밥 먹는 것 조차도 집에서 먹을 수 있다는 당연한 사실이 낯선 우리나라의 현실은 조금 충격이었다. 우리는 이제 매 시간 초과근무로 생산적 발전을 이룰 수 있는 단계를 넘었는지도 모른다. 그가 해주는 이야기로 우리의 방향을 제대로 점검할 수 있기를 바란다.


 이외에도 다양한 화제의 이야기거리는 읽는 동안에 어려움 없이 쉽게 페이지를 넘기게 만든다. 또한 그가 외치는 소리가 그동안 많은 공감을 얻지는 못했더라도 이제 그가 내는 목소리에 공감을 하는 사회적 분위기도 형성되었다고 생각한다. 한 경제학자가 한국의 전문가에 대해 굉장히 불신하는 이야기를 해서 놀라웠다. 그는 사회가 시키는대로 하고 싶지 않은 것을 억지로 하는 이가 전문성도 제대로 못갖추었다고 말했는데 이와는 달리 우석훈은 그 경제학자가 비판하는 주류에 속하지 않기도 하지만 자기가 가는 길에 애정을 갖고 달려온 듯 하다. 앞으로 그가 달리는 그 길의 방향성을 어느 정도 믿고 따를 사람이 늘기를 바란다.


 그리고 그가 기존 사회에 가진 짜증에 대해 조금 더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을 찾은 것 같다. 한 강연회에서 그가 짜증 섞인 소리를 해서 놀란 적이 있는데 그의 눈에 비친 현실의 부조리함이 너무나 명확해서 그런 것 같아서 그를 이제 이해하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