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라라, 기도하는 그 손을 - 책과 혁명에 관한 닷새 밤의 기록
사사키 아타루 지음, 송태욱 옮김 / 자음과모음(이룸) / 2012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유명한 서평꾼 로쟈(이현우)의 블로그에 2012년의 책으로 올라왔길래 호기심에 구매했다. 

파울 첼란의 시에서 따왔다는 무서운 말인 '잘라라, 기도하는 그 손을'이라는 제목도 물론 마음에 들었고 책의 주제인 '책읽기의 혁명성'이라는 두 단어의 조합 역시 흥미로웠다.


  최근에서야 이 책을 볼 생각이 든 이유는 나 자신이 책읽기에 너무 두려움을 느끼고 있어서였다. 점점 내가 아는 것에 대해 의심이 가고, 왜 제대로 알 수 없는지에 고민이 되어서, 늘 좋아했던 책읽기가 무서워지는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그래서 나는 어떻게든 내 상태를 탈출하고 싶었다. 책읽기가 어떤 것인가? 그에 대한 답을 구하고 싶었다. 옳은 선택인지는 모르겠지만, 책읽기 자체가 위험한 행위이고, 사람을 변화시키고, 이 세상의 음악,  예술, 삶을 변화시키는 엄청난 혁명을 불러일으키는 행위라고 말하는 이 책이 필요했다.


 이 책에서도 말하듯이, 문학이라는 우리가 아는 개념은 18세기에서나 형성된 개념이다. literature라는 말은 그 이전에 읽고 쓰고, 책을 만들고 편집하는 행위를 말했다. 이런 책과 관련된 그를 둘러싼 본질적인 행위는 너무나 당연하기 보다는 위험하고 세상을 변화시키는 힘이 있다.


 어느 평론에서 읽었는데 사사키 아타루를 가라타니 고진 등 일본 사상계를 잇는 4세대 사상가 정도로 분류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저자 본인은 이 책에서 겸손하게 자신이 읽은 것은 많지 않다고 말한다. 대신에 많은 것을 말하는 비평가와 하나로 모든 것에 대해 말할 수 있는 전문가에 대해 비판을 한다. 읽는 행위와 그리고 그것에 대해 말하는 것이 그렇게 쉬운 것일까? 우리는 과연 어떤 태도를 가져야 하는지 다시 생각해보게 되었다. 책읽기는 과연 쉬운 일일까?


 이 책을 읽고 나서 나는 얻은 게 많다. 문학이라는 개념을 다시 알게 된 것, 그리고 루터의 혁명, 또한 폭력과 혁명의 관계, 텍스트의 신성함, 그리고 의외로 우리 삶의 근대적 형식을 만든 12세기의 중세 해석자 혁명 등 기존에 생각하지 못했던 앎의 역사를 새로 알게되었다. 도중에 저자의 저서 <야전과 영원>이 계속 인용되는데 이 책 역시 곧 번역되기를 희망한다.


 혁명의 힘은 폭력이나 정동이 아니라 텍스트 그 자체이다. 한 번 읽으니 다시 읽고, 이를 쓸 수 밖에 없고 고쳐쓰는 과정에서 우리는 혁명을 이루어내고 그를 경험한다. 그래서 루터는 종교혁명을 이루어내고, 로마법을 다시 발견한 12세기의 중세 해석자들은 이를 바탕으로 교회법을 개정하고 이는 우리가 아는 삶의 형태, 번식 혹은 재생산을 위한 법, 삶을 위한 법을 만들어내었다. 이 엄청난 혁명의 과정은 근본적으로 텍스트의 발견과 그를 둘러싼 신진대사를 통해서 이루어졌다.


 책을 읽으면서 인용되는 푸코나 니체의 말 그리고 르장드르라는 한국 학계에 그리 알려지지 않은 학자의 말을 솜씨있게 인용하며 자신의 논지를 끌어가는 그 능력이 난 너무나 부럽다. 간만에 지쳐있던 나에게 다시 읽고 싶고 또 설렘을 주는 책을 만난 듯 싶다. 이 책을 선택하게 된 이유는 다분히 계산적이었지만 책읽기 자체는 쉽지 않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확인했다.


  돈키호테가 생각나는 텍스트와 세계의 관계, 세계와 텍스트가 일치하지 않아서 텍스트의 준거를 밝히게 된 루터가 세계와 만나면서 변화시킨 그 혁명. 텍스트의 혁명은 법의 혁명으로 이어지며, 이를 해석하고 적용하는 과정은 누군가의 삶이 걸려있기 때문에 계속해서 읽고 고쳐쓰는 것이었다는 사실 역시 알게 되었다. 내 앎의 과정은 이처럼 수 세기 전에 책읽기의 혁명을 이루어 낸 누군처럼 치열함과 책임감을 가지지 않았다는 생각이 들어서 너무 부끄럽다. 


 지금 누군가는 문학이 끝났다. 철학이 끝났다라고 말하지만 진정으로 이를 확언할 수 있을까? 우리는 새로운 혁명을 만들어낼 힘과 능력이 사라진건가? 책을 읽고, 텍스트를 읽고 번역하는 단순한 행위를 하는 누군가에게 그 엄청난 변화, 혁명은 계속될 수 있다. 심지어 지금보다 글을 읽는 사람이 적은 그 당대에도 이러한 변화가 일어났다. 그래서 삶을 변화시키는 혁명의 종언은 쉽사리 말할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