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실격 외 세계문학의 숲 5
다자이 오사무 지음, 양윤옥 옮김 / 시공사 / 2010년 8월
평점 :
품절


 인간 실격이라는 흥미로운 제목으로 이 책을 처음 봤을 때, 그리고 책을 다 읽은 후 나는 괴로웠다. 앓아 누웠다. 거의 모든 모습이지는 않지만 주인공 요조가 가지고 있는 세상에 대한, 사람에 대한 무서움과 공포를 나 역시 느끼고 있었기 때문이다. 데카당스라는 익숙치 않은 용어가 계속 생각났다.


 그래서 요조가 가지던 공포와 우울을 몇 년 동안 계속 가지고 있었던 듯 하다. 그래서 한동안 다시 이 책을 볼 수가 없었다. 괜히 읽었다 싶을 정도로 극히 예민하고 공포를 가진 사람에 대한 공감이 커서 나 역시 이러한 삶을 지속하는 게 가끔은 옳을까 자문했다.


 요조와는 다르게 그동안 나는 뻔뻔함과 무시를 익혔다. 그래서 다시 다른 번역본이지만 이 책을 읽게 되었을 때는 마지막에 요조를 회상하는 술집의 마담처럼 요조를 착하기만 했던 아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오히려 공감이 가는 쪽은 술집 마담이었다. 내게 무슨 일이 생겼길래 요조와의 거리감을 느끼게 되었을까?


 요조가 흥미로운 점은 엄청난 예민함과 공포를 가지고서도 그 삶을 이어가려고 사람들을 웃기며 그 안에서 살아나가려는 의지를 가졌다는 것이다. 가끔 그가 가진 내면을 꿰뚫어보는 이가 있었지만, 그런 가면극을 하면서 결국은 많은 사람들(특히 여성)에게 사랑받는 사람이 되었다. 요조는 이에 대해서도 편하게 느끼지 않았겠지만 그가 가진 감성은 그만이 가진 특별한 것이라서 사람들은 이유를 몰라도 그에게 끌렸던 듯 하다.


 어떤 사람들은 그만한 감성과 예민함을 느껴보지도 못했을 것인데 왜 가혹한 삶이 그에게 떨어졌던 것일까?  누군가는 그가 의지 없이 삶에 휩쓸렸다고 평가하겠지만, 내 눈에는 꽤 삶을 붙잡으려 애쓴 흔적이 보인다. 민음사 판본과는 다르게 뒤에 포함된 다자이 오사무의 단편이 눈에 띄었는데 개를 무지하게 싫어하지만 결국 다른 어떤 이보다도 개를 아끼는 것처럼 보이게 되는 단편의 주인공이 요조와 비슷한 것 같다. 인간에 대한 사랑이 넘치던 이는 그 누구보다도 요조가 아닐까?


 요조와 같은 사람은 이 세상에서 제대로 살기가 힘들 것이다. 쉽게 져버리는 꽃과 같은 삶과 같다고 생각한다. 다자이 오사무 역시 요조와 같은 인생을 산 듯하다. 신문에 연재하다가 결국 자살을 택한 다자이 오사무에게 나약한 사람이라기 보다는 짧은 삶을 사는 동안 많은 고통을 겪었으리라고 으레 짐작해본다.


 엄청난 플롯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솔직하게 감정을 드러낸 탓에 세대가 지난 후에도 많은 사람들이 이 책을, 그리고 요조의 삶을 응시하게 되는 것 같다. 누군가는 그와 같은 삶을, 또는 무시하고 보통 사람들의 품에서 아무렇지 않은 듯이 살아가겠지만 확실히 이 책을 읽은 전과 후는 나에게는 너무나 다른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