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학 오디세이 1 미학 오디세이 20주년 기념판 3
진중권 지음 / 휴머니스트 / 2003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진중권이 유명할까? 이 책이 더 유명할까? 지금이라면 당연히 전자이겠지만, 예술을 배우는 사람이거나 인문학에 조금 관심을 가진 사람은 후자를 선택할지도 모르겠다. 이 책은 추천도서로 뽑혀서 알게되었으며, 그 동안 너무나 무관심했던 미학이라는 생소한 분야에 대한 치밀한 입문서이다.


 실존미학이나, 미학적 접근이라는 일상 용어나 인문학 서적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말이지만 예술과 관련된 철학 그 이상으로 깊이 생각해보지는 않았다. 이 책은 미학사를 어렵고 힘든 개념어 나열이 아니라 삽입된 회화나 조각 이미지들과 함께, 그리고 진중권 특유의 쉽게 쓰는 능력과 함께 이해할 수 있다.


 가상과 현실의 분리 또는 통합 과정을 통해 고대 예술부터 근대 예술까지의 흐름을 읽을 수 있으며 에셔의 그림을 통해 현실과 가상세계를 넘나드는 있을 수 없는 존재세계를 상상하고 시각화해볼 수 있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한 기존의 철학적 접근 및 미에 관한 관점 설명도 잘 정리되어 있어서 철학에 무관심한 사람들도 고대 그리스 철학적 지식 없이도 미학에 대한 전통적 관점을 알 수 있다.


 흥미로운 것은 칸트의 형식 미학이었던 것 같다. 이성의 한계를 알아보고 인식 과정을 치밀하게 분석한 그는 미에 대해서는 공통감을 내놓으며 미는 속성이 아니지만 미에 대한 판단은 주관적이며 보편적인 공통감이 있어야 한다는 조금 아리송한 답변을 내놓기도 한다. 에셔의 흥미로운 그림을 보면서 다음 편 미학 오디세이의 구성과 복잡한 현대 예술을 어떻게 설명해 나갈 것인지도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