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캣 - 빠르게 판단하고 결정하라
권업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SCAT이라는 제목을 접했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른 것은 재즈 음악에서의 즉흥 연주였다. 물론 완성도가 전제되어야 하며, 사람들의 예상을 뛰어넘는 곡의 전개는 SCAT만이 주는 감흥이다. 


<음악> 재즈 따위에서, 가사 대신 아무 이 없는 후렴을 넣어서 부르는 창법또는 그런노래.


이런 SCAT을 일상생활 혹은 비즈니스에 적용할 수 있을까?


 스캣은 그러한 즉흥적인 대처능력, Improvisation을 이용하자는 아이디어로부터 출발한다. 스캣이 필요한 이유는 과거 산업사회로부터 지금 정보화사회까지, 현 상황의 데이터는 무궁무진하고 변화의 속도도 매우 빠르며 마치 불확정성의 원리처럼 현 상황의 예측이 어렵기 때문이다. 그래서 누구보다 빠른 대처가 필요하고 이러한 대처가 결정적인 차이를 낳을 수도 있다.


 스캣의 실행 조건은 다음과 같다.

 

분명한 목표 + 유사한 상황에 대한 지식 + 규칙에 얽매이지 않는 자율성  잠재된 창의성 극대화


 스캣의 전문가들은 치밀한 계획형이기보다는 일단 착수한 후에 다음 진행결과를 봐서 문제해결을 모색하는 행동지향적인behavioral 인물이다. 끊임없이 변화하는 상황에 대처하는 것은 연속적인 문제 해결을 목표로 하며 이에 대해서 움직이듯이 해결하는 방법이 필수일 것이다. 


 호기심과 브리콜라주, 당장의 한계를 인식하고 스캣에 필요한 자원을 만들거나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행위가 스캣에 필수적인 것 같다. 기존 문제에서의 일반적인 해결방식보다 다른 방향의 돌파구를 찾기 위해서는 위와 같은 행동의 전환이 필요하고 재즈음악에서의 스캣처럼 즉흥적이지만, 효율적인 해답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회전축을 유지하라
시나리오적 사고를 가져라
상상력과 창의성의 즉흥연기


다음과 같은 스캣을 위한 훈련방법은 몰아닥칠 위기를 이겨낼 방법이다. 책에서는 흥미로운 비유와 실제 사례를 들어가며(아이폰에 적용된 자이로스코프, 재난 위기에도 쓰이는 시나리오 플래닝 등) 스캣의 실제적인 적용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을 이야기한다.


 경영이론의 적용은 때로는 이상적이기도 하지만, 스캣의 목표나 적용, 그리고 그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는 것은 우리의 상황이 복잡계의 움직임을 따라가기 때문이다. 복잡계의 예측 불가능성에 무너지느냐 혹은 그 예측 불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한 재즈음악의 즉흥연주를 택할 것이냐, 실무에 종사하는 많은 비지니스맨들이 한 번 쯤은 고민해봐야 할 문제인 듯 하다. 스캣은 어지러운 상황속에서 새롭고 흥미로운 재즈음악의 예측 불가능하지만 매력적인 멜로디를 찾아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