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랑철학 - 니체를 읽는 아홉 가지 키워드
이수영 지음 / 동녘 / 2011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니체에 대해서 궁금했다기보다 '명랑철학'이라는 모순형용적 어법에 호기심이 끌려서 읽게 되었다. 그래서 니체에 대한 책이란 걸 알게된 것은 그 다음이다. 니체에 대해서는 초반에 나오다시피 오해가 진실을 가리고 있다. 


 나도 또한 어줍잖게 들어온 초인과 권력에의 의지라는 니체의 개념에 대해, 이상이나 환상을 좇는 추상적인 사유를 하는 철학자인 줄 알았다. 그닥 논리적이지 않은 서술에 이성이 주가 되는 철학을 좇던 개괄적인 내용 외에 별다른 관심이 없었다.


 하지만 증오, 위계, 양심의 가책, 사유, 질병, 공부 등의 키워드를 대상으로 하여 풀어나가는 니체의 이야기는 사실 솔직히 어렵다. 철학에 다가가기 위해서 원전보다는 2차 저작물을 많이 접해온 나는 이해하기 위해 경계하고 머리를 많이 굴려야 했다. 당연한 귀결이지만 니체의 사상이 복합적이고 많은 비유를 사용하기 때문에 해석도 단순하지는 않을 것이다.


 책을 읽으면서 활자를 마주하는 순간은 그리 유쾌하지 않다. 말로 나를 속이려는 지적 허영이 아닌가하면서 계속 읽고, 쉬는 과정중에 내가 이해하는 폭이 조금씩 넓어지는 걸 느낀다. 너무나 오랜 시간동안 사람들을 속여온 그 내면의 것을 파헤치기 위해 모순적인 구성을 취하는 가 싶지만, 그 진실을 알기 위해서는 때로는 그 경계를 넘어서야 하기 때문에 어렵고 낯설고 혼란스럽다.


 지금도 내가 이해하는 니체의 철학이 바로 니체가 의도한 바인지는 모르겠으나, 익숙한 것에서 벗어나고 모든 것을 의심하는 데 탁월한, 하지만 삶의 긍정은 포기하지 않은 본인만 좀 명랑한 철학을 접근하는 새로운 책을 보았다. 니체의 이야기를 듣다보면, 푸코가 지식과 권력의 관계를 파헤친 것이 듣도보도 못하게 갑자기 나타난 사상이 아니라는 걸 알 수 있으며 상식과 관습에 물든 나 자신도 돌아보게 된다.


쉽지만은 않지만 세상 문제도 그리 쉬운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복잡해진 세상을 풀어갈 앞선 위버멘쉬(초인)를 꿈꾸고 알리려 했던 사람의 이야기에 세계의 해석을 맡겨도 좋을 듯 하다. 자신은 세상의 선구자이기 때문에 2000년 경의 사람들은 자신의 책을 보고 있을 거라는 자신감 넘치는 예언의 한 실현이 되어준 나는 계속 책을 볼 수 박에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