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독 - 유목적 사유의 탄생
이정우 지음 / 아고라 / 200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저자 이정우는 다양한 학문을 접한 사람이다. 대학 때 전공은 공학이었으며 대학원에서는 철학으로 방향을 바꿨다. 어린시절부터 접한 문학에 이어, 건축에도 관심을 가질 정도로 지적 편력이 심하다. 좋은 의미로 그는 학문을 넘나들고 그래서 '아트앤스터디' 인문학을 배울 수 있는 그 곳에서 들은 저자의 깊은 사유를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었다.


 그가 전하는 깊은 사유와는 달리 이 책은 상당히 쉬운 문체로 쓰여있다. 다행히도 그가 지나온 세월과 관심 분야는 비슷해서, 고등학교 때까지 접했던 문학, 학부 시절의 전공인 과학, 그리고 철학을 지나오는 그의 지적 탐구과정을 볼 수 있다. 과학은 수식도 등장해서 낯설지만 철학에서의 엄밀성과 새로운 사실의 발견이 몰고오는 생각의 또다른 실마리를 느낄 수 있다. 


 철학에서 그가 낯선 언어로 설명할까봐 조금 걱정이 되었는데, 푸코의 철학이 가져다주었던 설렘과 다양한 분야에 대한 감탄은 그가 왜 수많은 학문을 가로지르는 횡단을 계속하려 하는지 이해할 수 있다. 그의 지향점과 맞닿은 학문의 방법론 때문일 것이다. 상당히 많은 책과 인물을 실어놓아서 개개인에 대한 매력적인 부분, 학문의 깊이를 심오하게 느낄 수는 없을지라도 그가 여지껏 진행해온 지적 여정의 과정을 알 수 있어서 흥미롭다. 


 개인적으로는 다른 사람이 즐겨읽은 책을 늘 궁금해하는데 그 이유는 그가 가진 생각을 가장 적나라하게 엿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의 강의보다 그가 쓰는 글이 더 흥미로운데, 어려운 내용을 쉽게 써서 저자의 이름이 보이지 않더라도 잘 쓴 글이라고 생각했는데 그의 글인 경우가 종종 있었다. 그가 가진 필력, 그리고 깊은 사유의 심층에는 역시 책을 탐독하는 학자의 생활이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