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 심리코드 - 인류 역사에 DNA처럼 박혀 있는 6가지 인간 심리
김태형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12년 5월
평점 :
품절


 우리는 역사를 인류 공동의 기억의 산물로 여긴다. 인간이라는 이름 아래 우리와 관계 없을 법한 그 누군가가 만든 발자취를 보면서 개개인이 속한 공동체의 행동 방향과 미래를 예상해보기도 한다. 그동안의 역사 연구가 이러한 결과물을 분석하는 행위였다면 이 책은 거꾸로 역사를 이끌어나가는 인류의 행동 심리를 분석한다. 외재적 접근과 내재적 접근의 차이로 이해하면 될 것 같다.


 저자 김태형은 심리학자로서 역사를 전공한 것은 아니지만 세계사의 흐름에 나타난 인간 심리를 6가지 코드로서 분석하고자 한다. 동기, 감정, 사고로 이루어진 인간 심리 중에서 채택된 6가지는 기억, 탐욕, 통제욕, 우월감, 개방성, 종교이다. 언뜻 듣는다면 딱히 일관성이 없어 보이는 이 키워드는 역사적 사실을 통해서 인간 심리를 이해할 수 있게 도움을 준다.


 책을 읽으면서 의외로 각 단어와 대비되는 단어쌍에 흥미를 느꼈다. 탐욕과 함께 언급되는 자본주의, 그리고 탐욕을 위해 이용되는 폭력과 거짓말은 즉각적인 거부감보다는 역사적 사실속에서 보편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을 설명하는데 의외로 적합하다. 또한 통제욕이 인간의 삶을 변화시키려는 욕구와 맞물린다는 사실 역시 저자의 설명을 통해 새롭게 재해석되고 있다.


 건강하지 못한 인간의 심리는 집단의 심리에서도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우월감은 열등감과 함께하며 이 우월감이 가져오는 파괴적인 역사적 사건은 우리 역사에서도 아픈 흔적을 남겼다. 굳이 자기 자존감이 충분히 높은 개인이 우월감이나 열등감을 강하게 표출하지 않는 것처럼, 집단도 역시 그러하다. 문제는 뿌리깊은 열등감을 지닌 집단이 보여주는 파괴적인 본성인 것이다. 이는 심리학에서 건강치 못한 증상으로 간주된다.


 개방성 역시 호기심과 관련하여, 또는 두려움이 없는 집단에서 보여주는 특성이다. 외부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폐쇄적인 문화를 유지하려 한다면 고인 물처럼 썩게 된다는 것이 저자의 입장이다. 이는 사상에서도 연관이 되는데 현재 종북사상 문제로 이슈가 되고 있는 지금 국가보안법이 제한하는 사상과 표현의 자유에 대해서 대한민국이 가지는 불안감의 정체를 이해할 수 있었따.


 책에 제시되는 역사적 사례 또한 세계사 시간에 혹은 간간이 미디어를 통해 접할 수 있는 것이라 어려움 없이 읽힌다. 오히려 세계사에 낯선 사람들이라면 새롭게 인간의 심리 속에서 표출되는 역사적 사실의 결과를 역추적해서 이해할 수도 있을 것이다. 현재 벌어지는 현실의 역사 또한 6가지의 심리코드를 통해 분석해보는 것도 이 책을 새롭게 재해석해서 내면화하는 재미가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