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겔루스 노부스 진중권 미학 에세이 2
진중권 지음 / 아웃사이더 / 2003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도서관에서 봤을 때는 수많은 개념어들의 혼란 속에서도 사뭇 감동받았다. 물론 마지막 장인 앙겔루스 노부스(1920, 파울 클레)에 관한 발터 벤야민의 해제가 실린 그 장을 읽은 순수하지 못한 미적 체험이 나에게도 감동을 주었다. 멍청해보이는 천사, 아무 힘도 없어보이는 천사에 대한 감동을 전해준 진중권의 이 책이 그래서 내게는 최고의 책이 되었다.


 다시 읽고 나서는 이전 9장들의 이야기도 잘 듣게 되었다. 철학사 곳곳에서 들려오는 미학에 대한 이야기는 파편화된 것 같지만, 다양한 측면에서 과거와 현재를 잇는 새로운 이야기가 되어 흥미를 일으킨다. 이 책의 장점은 도한 사진이 과감하게 큰 사이즈로 편집되어 있다는 것인데, 원작을 직접 마주해서 얻는 아우라만큼은 아니더라도 독서를 통해 얻는 작품의 감동치고는 꽤 크게 다가온다.


 포스트모던을 해석하는 수많은 이론 중에 그가 설명하는 존재미학으로서의 포스트 모던의 가치가 가장 크게 느껴졌다. 과거 미메시스 중에서 감각의 대상화, 없던 대상을 새롭게 생성하는 대상화는 단순하게 모방으로 축소되어 그 가치가 망각되었다. 


포스트모던의 감성과 상상력은 무엇보다도 시대의 고통을 예민하게 느끼는 진보적 감수성, 그리고 그 고통 극복의 실천적 방안을 찾아내는 창조적 상상력이어야 한다. ...

우리의 삶 자체를 예술론적으로 조직하도록 이끌어주는 영감의 원천이어야 한다. 미메시스 예술작품과의 존재론적 닮기. 이것이 포스트 모던의 정신이다 (p.149)


 닫는 글에 실린 '닮기의 놀이'에서 예술이 자기 삶을 하나의 작품화하여 필요한 영감을 주며 또한 에토스가 갖는 독단성을 미학으로 벗어나게 한다고 한다. 미는 개성적이기 때문이다. 포스트 모던이 제시하던 전체주의, 획일적 독단성을 타파하기 위해 예술을 강조했던 수많은 사상가들의 이야기가 비로소 이해되던 순간이었다.


 그리하여 저마다 미적 가치를 갖는 수없이 다양한 삶들이 서로 교호작용을 할 때, 비로소 사회는 폭력적 독단성과 무정형의 천박성에서 동시에 벗어날 수가 있을 것이다.(p.204)


 나는 예술이 가지는 무정형의 모습에서도 불안감을 느낀다. 과연 예술이 사회를 변화시킬 정도의 큰 힘을 가질 것인가? 하지만 예술을 통해서 우리들이 서로 대화를 해나간다면, 변화의 필요성을 느끼고 서서히 변화해 간다면, 또한 이성의 힘은 그때서야 발휘될 것이고, 소통을 전제로 한 인간들의 보편적 능력인 이성이 그 원래의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지금은 예술을 통해서 느끼는 감수성과 상상력이 조금 더 필요한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