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면하는 벽
조정래 지음 / 해냄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정래 작가는 이름만 들어도 '한국'이 떠오른다. <아리랑>, <태백산맥>, <한강> 등 그의 대표작은 이 땅 어느 곳, 이 땅이 가진 무엇을 대상으로 했다. 많은 작가들이 세계의 보편적인 감성이나 대상을 대상으로 쓸 때, 조정래 작가는 한국, 이 나라의 것을 보여주려 했다. 그래서 그의 혼이 살아있는 책들은 많이 사랑을 받았다. 


조금 부끄럽게도 나는 그의 책들을 읽지 않았다. 문학을 그리 즐겨 읽지 않는데다가 다른 나라 책도 아니고 우리 나라 책들은 감정을 자아내게 하는 것 때문에 읽고 난 뒤 많이 불편하다. 현실을 반영하기 때문에, 허구의 세계에서 일어나는 개연적인 일뿐이라는 팩트도 이해는 해도 막상 나의 감정을 문학작품을 분리시키기 어렵다. 그래서 학교에서 내준 과제 때문에 읽었던 조세희 작가의 <난쟁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이하 난쏘공)>을 읽으면서도 그 불편함을 지우기 힘들었다.


이 책은 조정래 작가의 대표작은 아니지만, 1977년부터 1979년까지 문예지에 발표한 8개 단편을 수록한 작품이다. 대작에 쉽사리 다가가지 못한 나로서는 그의 작품세계에 쉽게 들어갈 수 있을 것 같았다. 왜 70년대에는 이렇게 아픈 일들이 많은 것일까, 다시금 <난쏘공>이 떠올랐다. 지금은 많은 이들이 농촌을 이미 떠나서 농촌사회의 붕괴를 우리 세대는 체험하지 못했다. 당시의 사회문제였던 자본주의의 모순, 독재정치에 따른 압박, 농촌사회의 문제, 양극화, 빈곤, 민중의 아픔들, 그리고 비슷하게 반복되는 사회를 그린 이야기는 '벽'이라는 단어가 주는 막막한 현실의 감정을 보여준다. 


왜 현실을 나아지지 않았을까. 지금 우리가 고통받는 자본주의의 모순으로부터 기인한 일들, 그리고 정치적 문제도 아직도 해결되지 못한 듯 하다. 아픔받는 민중은 오히려 더 암담한 미래를 보고 있다. 우리만의 문제는 아니다. 미국의 민중은 2011년 99%를 외치면서 월스트리트를 점유했다. 우리만의 이야기를 담았던 작가의 작품들은 다시 우리의 이야기, 그리고 저 너머의 국가 이야기도 동시에 떠오르게 한다.


 이 책에 있는 이야기는 마치 지금 어디에선가 일어났을 법한 이야기다. 양공주와 그의 혼혈 아이들의 이야기는 이제 어른이 된 그네들의 이야기가 되고 비슷한 차별의 이야기는 타인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우리들의 부끄러운 모습속에 있다. 부스러지는 가장에서 어머니를 찾고 싶었던 아들은 화를 받기만 하지 내뱉지를 못하다가 억울한 일을 당하고 마치 도시괴담 같은 일들은 머리 속을 떠나지 않는다. 불편한 감정 속에서도 책을 쉽사리 덮을 수 없다. 70년대의 과거는 이미 일어난 미래의 변주곡같다.


 1970년대에 이 글들을 쓴 저자는 현재에도 오롯이 생명력을 다하는 글들을 향해 '작가의 말'에 자신의 각오를 전한다. 


"한정된 시간을 사는 동안 내가 해득할 수 있는 역사, 내가 처한 사회와 상황, 그리고 그 속의 삶의 아픔을 결코 외면하지 않을 것이다."

내가 서른두 살 때 쓴 글이다. 그 동안 그렇게 살려고 노력해 왔고, 앞으로도 또 노력할 것이다.


2012년 4월

조정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