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인의 반란자들 - 노벨문학상 작가들과의 대화
사비 아옌 지음, 정창 옮김, 킴 만레사 사진 / 스테이지팩토리(테이스트팩토리)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이 책을 보는 데 있어서 가장 끌렸던 것은 16인의 노벨상 수상자들이라는 것이었다. 세상에 대해 이제서야 소리를 내는 것이라 생각했다. 나는 문학에 대해서 무지했다. 정작 이 작가들 중에서 이름을 들어본 사람은 오직 3명 뿐이었다. 하지만 책에 나온대로 사진을 실은 김에 그 밑에 한 문장이 필요했던 기획은 그들의 삶을 인터뷰한 것으로 바뀌었다.

 

 하지만 사진이 나타내는 그들의 현재 모습도 멋졌다. 책 속의 내용이라 하면 어떻게든 실제와는 멀리있고 왜인지 우리들의 현실과는 분리되는 세계에 살고있는 사람처럼 느껴졌지만 사진을 통해서 전해오는 그들의 모습을 통해 그들이 살고있는 장소, 도시, 국가의 분위기마저 생생하게 느껴졌다.


 내가 무지했지만 그들은 16인의 유명한 문학상 수상자가 아니었다. 그들의 삶을 관통하는 공통된 키워드는 반란자다. 삶을 고요하게 살아오지 않은 것이 그들이 그들을 반영하는 세계를 직접 지었던 원동력이었겠지만, 부당한 것에 분노하고 싸워오고 심지어 자국민에게 공격받는 사람들도 많았다. 


 수상자의 영예보다는 현실과 싸워오는 그들의 모습, 또한 사진을 통해 짠해오는 감정이 들었다. 

그들의 소설이 그들의 몸을 통해, 그들의 말을 통해 또한 들려온다. 그들이 꿰뚫었던 현실은

아직도 그들이 희망한 삶과는 거리가 멀다. 노년의 작가에게마저도 너그럽지 않은 삶을 살지만

그들의 눈과 손을 찍은 사진은 그들만의 아우라를 전해준다. 또한 장수한 사람만 받을 수 있다던

노벨상을 수상한 사람답게 대부분이 노인이 되었지만 사진을 통해서 인터뷰를 통해서 이해되는

그들의 모습은 그 어떤 젊은이보다 더 생기있게 보인다.


 그래서 책의 권위에 억눌리기 싫지만, 흥미로운 그들의 삶과 문제의식 때문에 그들의 소설을

이제서야 읽고 싶다는 생각도 들었다. 특히 아들 히카리를 감동을 전해주는 유명한 작곡가로 키운

오에 겐자부로의 이야기는 잠시 잊고 있었다가 다시 생각났는데, 이유는 모르겠지만 치열한

16인의 삶 중에서 가장 잔잔하고 여운이 깊게 남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