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사랑하지 않는 자, 모두 유죄]의 서평을 보내주세요.
-
-
지금 사랑하지 않는 자, 모두 유죄
노희경 지음 / 김영사on / 200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드라마를 즐겨 보지 않는 나에게 '노희경'이란 이름은 그다지 친근하게 다가오지 않았다. 그럼에도 그녀의 책 <지금 사랑하지 않는 자, 모두 유죄> 라는 제목은 몇 날 몇 일을 나를 따라다녔다. 어떻게든 만날 사람이라면 만나게 된다고, 이 책과의 인연도 그랬나보다. 그렇게 책이 나에게 왔다.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사랑 따위, 라며 믿지 않았던 나. 사랑에 발끝을 적시면서도 여전히 서성이는 나. 그런 나를 노희경은 다독여줄 수 있을까. 훅훅 넘길 수 있는 책임에도 쉬이 페이지를 열 엄두를 못 냈던 건, 그런 확신이 없었기 때문이었을지 모르겠다.
자신을 드라마 작가라 당당하게 이야기하는 멋진 그녀가 말하는 '사랑'은 남녀간의 사랑만이 아니다. 한 사람 상대방에 대한, 가족에 대한, 친구에 대한 모든 사랑을 포함한다. 그녀의 글을 읽고나면 더 오래 가슴이 짠해진다. 대부분의 사랑을 이야기하는 에세이들은 참 쉽게도 쓰여졌건만 그녀의 글은 다시 한 번 곱씹게 만든다. 사랑이란 엄청난 녀석을 고이 전해주기 싫다는 그녀의 똑부러진 심보일까?
자신의 이야기, 조금은 부끄러울 지난 과거를 들쑤시는 이야기를. 마치 남의 얘기하듯 전해준다. 쉽사리 꺼내기 힘들 가족 이야기도 스스럼없이 나온다. 분명 그녀의 이야기는 흔치않다. 그러나 사람을, 세상을 관찰하고 글을 쓰는 그녀의 능력이 발하는 것일까. 글 군데군데에서 읽는 이 마음의 어딘가를 날카롭게 찌르는 무언가가 있다. 엄마를, 아버지를, 형제자매들을 떠올리게 하는. 지난 앨범 한 번 들적이게 만드는 감수성을 몇 줄 글의 고백으로 만들어낸다.
'나도 젊었을 적엔, 어렸을 적엔 몰랐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고 보니 알겠더라. 세상은 그런거라고. 사람이란 변하는 거라고. 그래서 지금에서야 당신들에게 용서를 빈다.'는 그녀의 고백은 이미 이 곳에 없는 사람들에게 전하는 부쳐지지 않을 편지이다. 그럼에도, 읽다보면 왠지 그 마음이 이 공기중을 지나 그들이 있는 어디론가 전해질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소망을 보태게 된다. 몇 자 글 안에서 그만큼의 진심과 애정이 느껴지기에.
영화 '화양연화'에 대한 부분 중에 이런 글귀가 있다.
"사랑이 믿음보다 눈물보다 먼저 요구한 것, 그것은 대상에 대한 끊임없는 관찰과 예민함이다." (74p)
읽는 순간 머리를 탁 하고 강타했다. 세상을 살아가는 데도, 사랑을 하는데도 나만 알던 내가 새삼스레 너무도 부끄러워졌다. 사랑이란 이름아래 아픈 척하며 믿음만을 갈구했던 내가 떠올라서. 철없는 나를 위해 작은 것부터 세세히 신경써줬던 주변사람들과 그가 떠올라서. 항상 받으려고만 하고 내가 먼저 챙기고 반응하지 못했던 내 모습이 이 글귀를 읽는 순간 그렇게 얼굴 빨개지도록 창피하고 미워졌다.
어느 페이지에선가 나왔던 말이 떠오른다.
"어느 날 말로만 글로만 입으로만 사랑하고, 이해하고, 아름답다고 소리치는 나를 아프게 발견하다. 이제는 좀 행동해보지. 타일러 보다."
"상처 준 걸 알아챌 때 우리는 비로소 어른이 된다."
어른이 된다는 것. 자기만 알던 세상의 알을 깨고 나오는 일. 항상 나만 상처 받았다고 믿던 자신이 누군가에게 상처 입히고 있음을 깨닫는 것. 말이 아닌 행동으로 타인을 감싸안을 수 있는 힘을 갖게 되는 것. 그러나 이 순간조차 말로밖에 하지 못하는 나의 어림이, 글을 쓰는 손이 부끄럽다. 그래서 나온 말인가보다. 말로만 어른이라고. 어른이란 도장이 찍히는 나이, 그러나 아직은 작은 아이인 나도, 이제 툭, 툭 나를 둘러싼 알 껍질을 쳐내야겠다. 비록 깨진 껍질에 상처입더라도...
• 서평 도서의 좋은(추천할 만한) 점
이름만 들어도 많은 사람이 아는 드라마 작가, 노희경. 항상 사람을 관찰하고 사람사는 이야기를 쓰는 사람이라 그럴까? 다분히 구체적이기까지 한 자신의 이야기임에도 물 흐르듯 자연스럽게 읽혔다. 무엇보다 이 책을 통해 그녀는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기보다 그 속에서 각각의 사람들이 자신의 경험을, 추억을, 이야기를 되살려보고 다시 현재에 충실하도록. 스스로 생각할 시간을 만들어주는 게 아닌가 싶다. 책에는 책 전체가 작가의 새로운 이야기로서 가치가 있는 경우도 있고, 단지 어느 한 부분만이 특정 사람에게 좋게 다가가는 책도 있는 법이다. 이번 노희경의 책은 후자가 아닐까. 나처럼 다른 사람들에게도 어느 한 문장이, 한 부분이 인상적으로 남아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놓게 된다면 이 책은 그것만으로 좋은 책이 될 것이란 생각이 든다.
• 서평 도서와 맥락을 같이 하는 '한핏줄 도서' (옵션)
사랑하지만 사랑하지않는다 (조진국)
두 사람이 있었다 (김종선)
사랑의 만남과 이별, 그 아름다웠던 순간들을 기록한 에세이. 방송계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쓴 에세이란 점에서도 노희경 작가의 이번 작품과 비슷한 점이 많다.
외딴 방 / 엄마를 부탁해
엄마, 아버지, 가족에 대한 기억을 끄집어내 그들에 대한 못다한 말을 풀어냈단 점에서 비슷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 서평 도서를 권하고 싶은 대상
부모에 대해 아쉬움과 못다 풀어낸 감정으로 힘들어하는 청춘들 혹은 모든 사람들.
지금 사랑에 빠져 행복감과 고달픔을 함께 느끼고 있는 사람들.
• 마음에 남는 '책속에서' 한 구절
나를 버리니, 그가 오더라. 그녀는 자신을 버리고 사랑을 얻었는데, 나는 나를 지키느라 나이만 먹었다.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우린 더 이야기할 수 있고,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우린 지금 몸 안의 온 감각을 곤두세워야만 한다. 이해하기 때문에 사랑하는 건 아니구나.
사랑이 믿음보다 눈물보다 먼저 요구하는 것, 그것은 대상에 대한 끊임없는 관찰과 예민함이다.
그날 나는 처음으로 이 남자에게 순정을 다짐했다. 그가 지키지 못해도 내가 지키면 그뿐인 것 아닌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친구가 되는 것이 친구다.
나는 남자를 사랑하는 게 아닙니다. 내가 사랑하는 사람이 남자였을 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