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과 나 사이 - 너무 멀어서 외롭지 않고 너무 가까워서 상처 입지 않는 거리를 찾는 법
김혜남 지음 / 메이븐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종종 사랑하는 사람 혹은 친한 사이에는 거리가 없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내가 이렇게 생각하면 당연히 그도 이렇게 생각할 거라고 믿는다. 이때 전혀 다른 반응이 나오면 그가 나를 배신했다고 실망하거나 크게 낙심을 하고 상처를 받는다. 때로는 심하면 아예 관계성을 단절시켜버리는 경우까지 발생한다. 그런데 저자는 이런 경우 일단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생각해 보라고 말한다. 거리는 둔다는 것이 그를 무시하거나 마음에서 놓아 버리는 것이 아니라 가슴이 아프지만 그리고 너무 슬프지만 그의 생각이 나와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그를 존중해 주는 것이라고 한다. 그에게 나의 생각과 뜻을 관철시키려고 하거나 압박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면 구체적으로 인간관계에서 어느 정도 거리는 두는 것이 서로 상처를 받지 않는 것일까? 사랑하는 가족이나 연인 간에는 어느 정도 거리를 두는 것이 좋을까? 친한 친구와 회사 동료 간에는 어느 정도 거리가 필요할까? 20cm, 아니면 40cm, 이것도 아니면 120cm? 저자는 구체적인 수치와 자료들을 통해 도움을 주고 있다.

personal space 가 있다고 한다. 밀접한 거리, 개인적 거리, 사회적 거리, 공적인 거리로 나뉘는 데 저자는 이 중 첫 번째와 두 번째 거리를 다룬다. 가장 가까운 거리이고 가장 상처를 주고받을 수 있는 거리이기 때문이다. 과연 우리는 무엇을 얼마만큼 덜어내야 하고 또는 얼마만큼 채워 넣어야 행복할까?

인간은 혼자 살아갈 수 없다. 그렇다고 너무 많은 사람들과 관계성을 맺는 것도 불가능하다. 사회적으로 150명까지 관계를 맺으며 살아갈 수 있다고 한다. 어머니 뱃속에서 완전히 하나 되었던 인간이 이 땅에 태어나면서부터 떨어져 나와 살아야 하기 때문에 3년 정도의 연습시간이 필요하다고 한다. 그래서 아기들은 잠깐만 어머니 곁에서 떨어져도 울고 때로는 온갖 재롱을 떨며 관심을 받기 위해 노력한다고 한다. 이 얼마나 처절한 몸부림인가? 이것이 본능일진대 성인이 되어 랜선 이모, 랜선 집사로 살아간다는 것이 참으로 안타깝다. 그런 분들의 삶을 존중하지만 좀 더 성숙하고 건전한 사회를 통해 서로의 상처를 싸매주고 아름다운 공동체를 만들어 가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상처를 받지 않기 위해 거리를 두는 것이 아니라 상대를 존중하고 그와 좀 더 관계성을 깊이 맺기 위해, 또한 나의 행복을 위해 한 발 물러설 줄 하는 지혜가 필요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저자의 아픈 상처와 깊은 고뇌를 통해 주는 조언들이 주옥같다. 고난이 내게 유익이라는 말이 떠오른다. 어떤 것도 받아들이기 나름이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