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0일간의 글씨연습 - 악필 교정, 누구나 글씨를 잘 쓸 수 있다!
이해수 지음 / 좋은날들 / 2016년 6월
평점 :
글씨는 마음의 거울이라고 하였다. 오늘날은 컴퓨터가 대신 써 주는 경우가 많지만 글을 써야 하는 경우도 적지 많다. 특히 학생들인 경우는 더더욱 많다. 어떻게 보기 좋은 글씨를 쓸 수 있을까? 한석봉처럼 또는 추사 김정희처럼 예술적인 글씨는 아니더라도 보기에 무난한 글씨를 쓸 수는 없을까? 고민하는 이들에게 저자는 몇 가지 원칙을 제시한다. 막내가 워낙 악필이어서 1년 전 쯤 악필탈출 필기법을 공부한 적이 있다. 그런데 이 책을 통해 연습할 때는 그럭저럭 알아 볼 수 있는 글씨였는데 조금 지나고 나니까 원래대로 돌아오고 말았다. 이번에는 이론적으로 먼저 무장을 하고 실제 연습을 통해 확실히 악필 탈출을 했으면 좋겠다. 저자가 말하는 4가지 기본 법칙은 무엇일까? 먼저는 글자 모양을 의식하면서 쓰는 것이라고 한다. 우리가 보통 말하는 글자를 그리는 것이다. 그리고 바른 자세와 좋은 펜과 리듬 있는 글씨를 쓰는 연습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정성이 들어가야 한다고 말한다.
다음은 막내가 쓴 소감이다. <글씨를 잘 쓰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이 책을 추천하고 싶다. 글씨를 못 쓰 는 사람들은 아무리 글씨를 잘 쓰려고 해도 잘 써지지가 않는다. 펜글씨도 마찬가지로 요령을 알려주고 써 보라고 한 것이 더 잘 썼다. 요령은 붓글씨를 쓰듯이 모앙을 의식하며 천천히 쓸 것 모양을 의식 하라는 것은 글자를 도형으로 의식하면서 쓰라는 의미이다. 글씨를 잘 쓰려면 좋은 글씨를 좋은 글씨를 의식 하면서 천천히 쓰는 연습이 중요하다. 펜의 기울기는 65~70도 정도 펜 끝에서 2.5cm 정도 위를 잡는다. 엄지와 검지로 펜을 가볍게 집듯이 잡고 중지로 받친다. 밑에서 봤을 때 삼각형 모양이 나와야 한다. 중지의 첫 관절과 검지의 뿌리 부분에 펜을 올리고 엄지로 펜을 고정 시킨다. 검지를 펜 위에 가볍게 올려서 펜을 쥔다. 글씨 연습 할 때 허리를 바로 세우는 것이 좋다. 그리고 이것 보다 중요 한 것 은 마음에 안정이다. 마음에 안정이 되어 있지 않으면 집중이 되지 않는다. 그래서 마음에 안정이 필요하다. 글씨 연습에 좋은 펜은 볼펜은 미끄러워서 잘 써지지 않고 만년필은 실력이 좀 있는 사람이 써야 한다. 글자가 뚜렷하고 마찰력도 어느 정도 있어서 잘 써지는 펜은 플러스펜 과 중성펜 이다. 이 두 가지가 초보자 의 글씨 교정연습에 가장 좋다고 할 수 있다. 누가 보기에도 좋은 글씨 의 세 가지 요소는 1. 반듯하고 깔끔한 선 2. 글자 의 조화와 균형 3. 개성 있는 글씨 체 이다. 악필교정 초기 단계에는 개성을 잠시 접어두고 선 긋기와 글자의 균형 감 훈련이 충분히 이루어진 다음에 나만의 필체를 찾는 순서이다. 요즘 캘리그라피가 인기를 끌고 있는데 캘리그라피의 사전적 뜻은 그린그림 문자인데 쉽게 말해 손 글씨+그림 의 개념이다. 캘리그라피의 도구 또한 붓, 혹은 붓 펜 인 경우가 많고 오랜 노력을 들여야 한다. 굳이 캘리그라피가 아니더라도 글씨를 꾸준히 연습하는 가운데 약간의 의도를 더하면 충분히 개성 있는 글씨가 나온다. 초성이나 받침 자음 또는 중간 모음의 크기나 선두께에 강약을 주는 방식으로 말이다. 리듬이 있는 글씨는 보기에 아름답고 생기가 넘친다. 이것을 알면 악필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
글씨를 잘 쓰는 사람은 붓을 엄청나게 가린다. 붓을 가리지 않는 다는 말은 아무런 붓이나 가지고 글을 것이 아니라 붓을 잘 다룬다는 의미라고 한다. 붓의 특징을 알고 나에게 맞는 붓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한다. 아무튼 막내가 올 여름에는 악필에서 완전히 탈출하기를 기대한다. 또한 이 책이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무엇보다 그의 악필에 대한 생각을 새롭게 했으리라고 믿는다. 정성을 들여 쓴 글씨는 사람들에게 힘과 위로를 주고 때로는 새 희망을 주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