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가 만약 집을 짓는다면 - 후암동 골목 그 집 이야기
권희라.김종대 지음 / 리더스북 / 2016년 4월
평점 :
품절
집을 부동산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평생 동안 살 것을 생각하며 고르거나 짓는 경우를 생각한다면 저자들의 경험이 아주 귀한 것이 될 것이다. 이제 막 중학교에 들어간 막내가 집을 짓는 데 관심이 많다. 아마도 자기만의 공간을 생각해서 일 것이다. 그가 읽고 남긴 평을 잠깐 옮긴다. ‘ 집짓는 내용이어서 보게 된 책이다. 이 사람들이 답답한 용인에서 벗어나 후암동으로 이사하면서 집을 짓게 되는 내용이다. 아이를 위해서 집을 짓는 것이 가장 큰 이유였다. 아파트에서 살지 않고 자신만의 집을 왜 짓는 지 이해할 수 있었다. 도시에서의 자신들도 불편하지 않고 아이들도 자유롭게 생활할 수 있는 그런 공간을 나도 만들고 싶다. 집을 짓는데 공사하는 사람들이 일을 대충하고 미뤘을 때도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집을 다 짓는 것을 보면서 포기하지 않고 참아서 이 하나의 집을 만들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사람들의 포기하지 않는 마음과 끈기를 본받고 싶다.’
내가 원하는 집을 짓는 다는 것만큼 신나는 일도 없을 것이다. 건축가들의 간절한 소망이기도 하고 많은 사람들의 바람이기도 하다. 물론 오늘날 대부분은 집을 하나의 부동산으로 취급해 돈으로 본다. 저자들의 자기 집을 향한 끈기와 열망은 대단하다. 반면 시공하는 사람들의 자기 나름대로 하는 것과 편리주의 또한 잘 드러난다. 실제 설계 단계로부터 구체적인 공사 하나 하나가 잘 드러나 있어 자기만의 집을 짓기 원하는 사람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내가 살 집에 대해서 다시 한 번 곰곰이 생각할 기회를 제공해 주리라 믿는다. 주거 공간 특히 주택은 사람이 살아가는 공간이기 때문에 철저히 개인에게 맞춰지는 것이 맞다. 그렇기 때문에 가장 주관적이지만 가장 개성이 잘 드러나는 공간이다.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집은 하나의 놀이터요 쉼터이고 가장 중요한 생활공간이다. 그렇기 때문에 철저하게 아이들의 공간과 주부들의 공간에 맞추어져 설계되는 것이 맞다. 그러나 우리가 가장 선호하는 아파트는 아이들보다는 주부들의 공간에 맞추어져 있다. 아이들을 위해서는 새로운 공간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누군가는 희생이 필요하다. 저자는 이러한 면에서 대단한 용기를 갖고 있다. 이들의 아름다운 도전이 우리에게 새로운 희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