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入, 수시로 대학 간다 - ‘물수능’의 ‘6장원서’ 선택
이종한 외 지음 / 지상사 / 2015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은 정시보다 수시비중이 높다. 대학에서는 다양한 소질과 재능을 가진 미래의 인재를 선발하기 위한 선택이긴 한데 실상 이것도 지방보다는 수도권에 있는 학생들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물론 지방이나 낙후된 지역에도 농어촌 특별전형 등이 있긴 하지만 상대적으로 비중이 높지 않다. 저자들이 이야기하는 부산이나 대구 등이 수시보다 정시에 집중하는 것도 이러한 거와 무관하지 않다. 물론 발 빠르게 학교가 움직이지 못하는 것이 근본적인 문제이긴 하지만 일선의 학교에 이것까지 요구하는 것은 무리라는 생각이 든다. 그렇다면 지방이나 정보가 상대적으로 적은 지역에서는 학교보다는 개인적으로 준비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각 대학의 사이트를 찾아서 정보를 얻거나 입시학원의 정보를 통해서 미리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자들이 말하는 수시준비를 들어보자.

저자들은 서울에 소재한 현재 고등학교 입시전담 선생들이다. 얼마 전 지방까지 내려와 입시설명을 한 익숙한 이름도 눈에 띈다. 먼저 part를 두 개로 나누어 첫 번째에서는 넓게 읽고 깊게 판단하다. 그리고 두 번째는 나를 보고 대학을 결정하다로 서술하고 있다. 저자들이 이야기하지만 상위권에게는 수시가 일종의 좋은 밭이다. 그러나 중하위권학생들에게는 바늘구멍 같은 경쟁을 뚫고 자신이 원하는 대학을 준비해야 한다. 그래서 그들은 오히려 정시에 집중한다. 물론 정시는 재수생과 반 수생들이 기다리고 있어 치열한 경쟁이 필요하지만.

과거에는 수시를 일종의 보험으로 생각했다. 수능에서 혹시나 모를 최악의 경우를 대비해 자신의 현 수준보다 한 단계 높거나 조금 높은 것으로 일단 지원해 놓고 보자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이제는 수시를 전략적으로 대비하지 않으면 원하는 대학에 가기가 쉽지 않다. 저자들이 이야기하는 것처럼 냉철해야 한다. 그리고 6장중 최소한 1~2개는 현실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물론 그렇다고 너무 낮게 지원해 정시자체를 볼 기회마저 날려 버리면 안 되겠지만.

개인적으로 면접과 자소서 쓰기에 관심이 많았다. 의외로 면접 비중이 높은 대학이 많다. 학생부 성적이나 수능에서의 성적을 뒤집을 정도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면접이다. 선배들의 도움을 받거나 동기들과 함께 면접을 철저히 준비하는 것이 당락을 결정하는 경우도 많다는 생각이 들었다.

현장에서 지금도 입시를 준비하는 교사들의 입을 통해 생생한 입시의 모습을 보았다. 오늘도 밤늦게 자율학습까지 하고 있는 우리 아이들 각각에 맞는 대학과 학과가 주어졌으면 한다. 그래서 개인과 국가 전체적으로 윈윈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 학부형의 한 사람으로서 대학입시는 가장 힘든 인생의 한 부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