덜어냄의 법칙 - 독보적인 존재가 되기 위한 6가지 법칙
매튜 메이 지음, 박미경 옮김 / 라이카미(부즈펌) / 2015년 4월
평점 :
절판


최고가 되고 많은 사람들에게 주목을 받을 수 있는 비결은 무엇일까? 많은 사람들이 개선을 이야기하고 개혁을 말한다. 더 나아가 창조라는 단어까지 사용한다. 그런데 정작 무엇을 바꿔야 할 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저자는 무언가를 더하기보다 빼는 것에 집중한다. 덜어내고 덜어내 마지막 본질만 남기라는 것이다. 그런데 사람들은 뼈대만 있는 것을 싫어한다. 욕심이 생겨 무언가 생각나는 것들을 여기 저기 덧붙인다. 이렇게 하다보면 처음 것과 전혀 다른 것이 되어 버린다. 어떻게 이것을 극복할 수 있을까?

저자의 조언을 들어보자. 저자는 여백이 실존을 이긴다고 말한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 FedEx 로고를 들고 있다. 절묘하게 숨어 있는 화살표가 이 광고의 백미다. 여기서 드러난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보일 듯 말듯 그러나 사람들의 뇌를 지배하는 이 여백을 발견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 공간을 고객이 채우도록 해야 성공한다고 저자는 말한다. 2장에서 사례 중 완벽함보다 단순함을 추구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단순함과 직관성은 중독성을 가져온다고 말한다. 우리는 정보의 홍수 속에 산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이 얼마나 유용한지는 생각해 볼 일이다. 저자는 3번째로 정보가 적을수록 생각은 자유로워진다고 말한다. 과도한 정보는 뻔한 답을 유도한다는 것이다. 상상력을 가로막는 것은 습관과 장벽이 만든 경직된 사고 곧 뻔한 답이다. 반복된 학습은 오히려 상상력을 저해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그러기에 끊임없는 소통이 있어야 한다. 창의성은 어떤 제약이 가해질 때 더욱 발휘된다. 그러므로 나를 의도적으로 제약을 가해야 할 필요도 있다. 다섯 번째로 파괴를 통해 혁신을 가져올 수 있다. 이를 위해 익숙함보다는 불편함을 추구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때로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 더 낫다고 말한다. 이는 휴식을 말한다. 깊은 명상이나 낮잠을 자거나 산책을 통해 뇌를 신선하게 하도록 한다.

우리는 빠르고 지나칠 정도로 많은 지식과 정보들을 우리 뇌에 집어넣고 있다. 이것이 얼마나 유익한지는 집고 넘어가야 한다. 정말 필요한 것들은 이미 우리 안에 있고 이것들을 어떻게 새롭게 만들지를 깊은 생각과 치열한 논쟁과 토론을 통해 만들어 내야 한다. 이것이 창의적인 것이고 사람들을 감동시키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기업체가 아니더라도 개인적인 것이나 작은 모임에서도 우리가 이러한 과정을 통해 좀 더 생산적이고 역동적인 삶을 만들어 갈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이들의 여유와 단순함이 부럽다. 당장 눈앞의 작은 것보다 멀리에 있는 것을 보고 인내 할 수 있는 힘이 오늘도 내게 요구됨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된다.

무엇에 집중할 것인가? 무엇을 남기고 무엇을 덜어낼 것인가? 무엇을 하고 무엇을 하지 않을 것인가? 우리가 그려야 할 그림은 이렇게 만들어져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