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집짓기 해부도감 - 가족 구성원의 감성과 소박한 일상을 건축에 고스란히 녹여내다 ㅣ 해부도감 시리즈
오시마 겐지 글.그림, 황선종 옮김 / 더숲 / 2015년 3월
평점 :
집을 짓는 다는 것은 단순히 거주하는 공간을 마련한다는 것하고는 다르다. 자신의 생각과 이상을 표현하는 것이고 삶을 하나의 공간에 나타내는 것이다. 오늘날은 이런 의미는 거의 잃어버리고 단순히 만들어진 것들을 주문해서 사거나 또는 시대의 흐름에 떠밀려 돈을 주고 들어가 살아간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삶의 공간인 아파트나 연립주택들은 사용하는 공간이 거의 비슷하다. 그러기에 이 책에서 말하는 집짓기에는 해당 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이러한 사람들에게도 유용하다. 공간의 활용이나 언젠가 모를 자기만의 공간인 집을 짓는 경우를 대비해서 저자의 생각에 귀를 기울여 볼 필요가 있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또는 개인의 취향에 따라 집의 구조난 모양이 달라진다. 저자의 생각을 보자. 역시 저자도 다른 건축가들처럼 거실과 다이닝룸과 부엌을 맨 먼저 언급한다. 이 공간은 집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곳이기에 가장 신경을 많이 써야 한다. 어떻게 이 세 공간을 자연스럽고 유기적으로 배치해야 할까? 그 중 가장 흥미롭고 중요한 부엌을 보자. 인상적인 것이 반도형 부엌이다. 좁은 집에서 공간을 잘 활용할 수 있을 것 같다. 대가족이 아닌 둘만 생활하는 공간에는 유용할 것 같다. 그 외에는 저자는 아이들의 공간 그리고 계단을 가구처럼 이용할 수 있는 팁과 화장실의 활용 등을 소개한다. 집배치는 어떻게 햇빛을 방 안으로 유입시킬 것인가가 관건이다. 그러기에 창문은 중요하다. 지붕과 현관 그리고 발코니는 집의 얼굴이다. 첫 인상을 좌우하는 것이기에 신경을 써야 한다. 그 외에 신발장을 비롯해 수납공간과 식품 저장고 까지 섬세하게 보여준다.
요즘은 집은 생활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편리성이 강조되고 자동차는 보여 주는 것이 되었지만 자기만의 안락한 공간을 만들 수 있도록 저자는 많은 것을 보여준다. 우리가 주위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기에 집안의 환경을 좀 더 섬세하게 만들어 갈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공간들은 쉼이 되고 소통하는 곳이 되어야 한다. 우리와 좀 다른 일본의 모습이지만 공간의 활용과 쓰임에 대해서 많은 정보를 얻었다. 실제 주택의 모습을 보여 주어 더욱 실감이 났고 현실적으로 만들어 쓸 수 있다는 자신감을 주었다. 전체적으로 집을 바꾸지 못하더라도 부분적으로 하나 둘 도입하다 보면 전혀 새로운 집이 될 것 같다. 아름답지는 않지만 실용적인 집을 지을 수 있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