욱하는 성질 죽이기 - 행복하고 싶으면 분노를 조절하라!
로널드 T.포터 에프론 지음, 전승로 옮김 / 다연 / 2014년 10월
평점 :
품절


욱하는 성질 죽이기

로널드 T.포터-에프론 지음 / 전승로 옮김

저자는 사회복지와 의학을 전공하였고 분노관리와 정신건강 카운슬러로 활동하며 중독치료 전문가로 일하고 있다. 물론 저자가 접한 사람들은 단순히 욱하는 성질을 가진 것보다 극단적인 사람들의 경우가 많다. 그러나 본문들의 예와 같이 극단적인 경우가 아니더라도 아무도 예상하지 못한 분노의 표시나 행동들이 자주 보인다면 많은 사람들을 잃을 확률이 높다. 사전에 이를 파악하고 적절히 관리 또는 조절하는 것이 현명하리라 생각된다.

저자가 말하는 과도한 분노는 감정적 과부하 상태로 이 가운데 문제가 되는 세 가지 변화를 지적한다. 이성적 인식의 완전 또는 부분적인 상실과 정상적인 자기 인식의 완전 또는 부분 상실 그리고 행동 통제력의 완전 또는 부분적인 상실을 설명한다. 그는 분노를 6가지 종류를 나타내 설명하고 있다. 돌발성 분노와 잠재적 분노 즉 개인적 보복이나 폭주 등을 갖고 있는 것과 생존성 분노 그리고 네 번째로 체념성 분노, 수치심에서 비롯된 분노 그리고 마지막으로 버림받음에서 오는 분노 등이다.

저자는 이러한 분노들이 어떻게 발생하고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가를 설명하고 또한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가 등을 제시한다. 대부분 과거의 충격과 상처에서 비롯되기 때문에 이러한 것들을 치료하는 것이 우선이겠고 이러한 분노들을 쌓아 놓지 않고 그 때 그 때 적절한 방법으로 풀어 버리는 것이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물론 심각한 경우에는 저자가 말한 것처럼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약물치료까지 받아야 하는 경우가 있으리라 생각된다. 예를 본문에 나오는 것처럼 아예 직장 생활을 할 수 없을 정도라면 상담을 받아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리라.

그런데 실제 생활가운데 이러한 분노가 갈수록 늘어간다는 생각이 든다. 운전할 때면 종종 참을 수 없는 분노로 언쟁을 하거나 심지어 싸움까지 하는 경우가 보인다. 좀 더 너그러운 마음이면 좋겠지만 서로를 신뢰하고 양보하는 것보다 경쟁하다 보니 이러한 일들이 더욱 심해지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아직 우리는 미국처럼 이렇게 극단적인 겨우는 아니지만 과도한 스트레스나 경쟁으로 인해 또는 피해의식으로 인해 이러한 분노가 많은 이들에게 쌓여가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러한 분노로부터 자유로운 삶이 곧 행복한 삶이리라. 나의 행복을 위해서 이러한 분노를 미리 적절하게 관리하는 지혜가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2015는 분노를 관리하는 한 해가 되었으면 한다. 우리 모두가 행복한 삶을 꾸려갔으면 하는 소망을 가져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