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북이는 왜 달리기 경주를 했을까? - 청소년, 인문학에 질문을 던지다 꿈결 청소년 교양서 시리즈 꿈의 비행 1
김경집 외 지음 / 꿈결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거북이는 왜 달리기 경주를 했을까?

김경집·김보일·김선희· 김육훈· 박승찬· 윤희수· 이승우· 전종환 지음

청소년을 위한 인문학 소개다. 입시위주의 편향된 공부에 시달리고 있는 청소년들에게 다양한 인문학을 소개하고 있다. 총 8개의 강좌가 준비되어 있다. 윤리, 문학, 서양철학, 과학 그리고 역사, 동양철학, 롤 모델, 예술의 영역으로 나누어 각 분야의 전문가가 강의를 하고 있다. 청소년뿐만 아니라 바쁜 생활로 인문학을 접할 기회를 잃어버린 사람들에게도 좋은 강의를 만날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다.

거북이는 왜 달리기 경주를 했을까? 토끼가 달리기 경주를 제안했을 때 이건 말로 안 되는 경기라고 생각하지 않았을까? 바다에서 주로 헤엄치면 생활하는 그에게 뭍에서 달리기를 그것도 날쌘 토끼와 경주를 한다는 것은 애초부터 공정하지 않은 경기였다고 생각은 하지 않았을까? 저자는 과연 어떤 의도를 가지고 이 우화를 제공했을까? 윤리와 정의에 대해 여러 가지 생각할 꼬투리를 제공해 준다.

합리와 정확성을 추구하지 않고 말을 빙빙 돌리는 문학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경제성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에게 아니 공학도나 경제인들에게 이것은 하나의 말장난일 것이다. 그런데 저자는 장애물을 넘어가는 방법 중 돌아가는 방법도 심지어 넘어가지 않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며, 문학을 장애물을 넘어가는 방법에 당당히 비유하고 있다. 글을 쓸 때 보이는 것이 아니라 본 것을 쓰라고 말한다. 아는 것이 아니라 본 것을 쓰라고 강조한다. 또한 문학은 폼이나 감정이 아니라 도서관에서 정독을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말하고 있다.

세 번째 강의는 서양철학이다. 아리스토텔레스와 플라톤에게 진리에 대해 묻고 있다. 개그맨 옥동자를 뻥튀긴 모습으로 못 생긴 소크라테스를 묘사한다. 이런 그들 존경해서 스승으로 모시고 후에 유클리드의 기하학까지 수학한 그는 우여곡절을 겪고 마침내 고향 아테네에 돌아와 아카데미를 세우고 40년 동안 학생들을 가르쳤다. 그와 함께 서양철학의 기둥을 이룬 아리스토텔레스는 아카데미의 지성인이었지만 치명적인 약점인 말더듬거리는 것을 메모를 통해 극복하고 세계 최고이 지성이 되었다고 한다.

이 외에 우리의 흥미를 끌만한 내용들이 많다. 강사들의 강의도 매력적이다. 책을 놓기가 쉽지 않다. 아이가 책을 읽다 중간고사 기간에 접어들었다. 시험이 끝난 후 다시 유쾌한 책읽기를 시작할 수 있으리라. 실은 나도 책을 마음 놓고 읽기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는다. 책을 충분히 생각하며 읽을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큰 행복인지 모른다. 나에게 플라톤이나 아리스토텔레스 같은 지성이 없지만 멀리서나마 이런 지성을 볼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행운인가? 우리에게 이런 여유가 있었으면 좋겠다. 특별히 자라나는 청소년들에게 이런 기회들이 좀 더 주어져 그들이 펼칠 수 있는 꿈과 생각이 더 커졌으면 하는 마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