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 등척기 - 정민 교수가 풀어 읽은
안재홍 지음, 정민 풀어씀 / 해냄 / 2010년 10월
평점 :
품절



백두산 등척기

안재홍 지음/ 정민 풀어씀


개인적으로 아직 백두산을 오르지 못했다. 그래서 그 느낌과 분위기가 자못 궁금했다. 분단의 아픔을 안고 살아가는 우리에게 또 하나의 슬픔을 보게 되었지만 낯선 단어들을 부여잡고 마음을 들여 읽고자 노력했다.


사회과 부도를 펼쳐 함경남도 안변, 원산, 문천 등을 찾으며 거슬러 올라갔다. 오랜만에 들어보는 지명들과 산하들을 상상하며 읽는 기분이 묘하다. 지금은 걸을 수 없는 그 길이 못 내 아쉽다. 우리네 자연은 ‘산이 높지 않아도 수려하고, 물은 깊지 않아도 맑다.’ 는 말처럼 아름답다.


그는 서호진에서 봤던 조선질소왕국을 제국주의 수탈의 본 모습으로 보았다. 조선개국공신 ‘이지란’이 청해백으로 있었던 청해의 지명도 새롭다. 차유령 너머에서 내뱉는 그의 탄식이 가슴에 다가온다. ‘아아! 한 나라의 수도, 현대 문화의 첨단에서 기를 쓰고 버텨 봐도 오히려 일생의 광명이 보이지 않거늘 이 산간에서 헐벗은 어린 동무들에게는 누가 언제나 가슴 벅찬 환희를 가져다 줄 것인가?’


무산에서 백두산 상봉까지 대략 삼백 오십 리, 거기서 혜산진까지 또한 삼백 이십 리에서 삼백 삼십 리 도합 줄잡아 육백 칠십 리에서 육백 팔십 리를 도보로 걷은 대장정의 모습을 아주 상세하게 기록한 저자의 노고에 감사한다.


상봉을 중심으로 남북 일 천 여리, 동서 육백 여리의 시커먼 현무암층 때문에 흐르는 물이 모두 검고 쌓여서 썩은 낙엽이 섞여 음료로 쓰지 못한다는 물들에 놀랐다. 홍암동 부근에서 남이 장군을 회상하는 글이 우리의 슬픈 역사를 보여 준다. 이미 그때 기울어져 가는 조선을 품고 있었던 것처럼 그것은 우리에게 다시 한 번 역사를 돌아보게 한다.


곳곳에서 그의 조국을 향한 애틋한 마음이 묻어난다. 이 시점에서 우리와 조국을 생각한다. 혹시 나에 파묻혀 버리지 않았는지.


젊음의 기상과 뜻을 품고 있는 이들에게 권한다. 우리에게 다시 한 번 이러한 뜻을 펼칠 수 있는 시간이 오기를 소망하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