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하나의 우리역사
信太一郞 지음, 이종윤 옮김 / 삼국시대사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일본사람이 일본인을 대상으로 쓴 책이라는 호기심을 갖고 보았다. 지금으로부터 20년 전에 쓰여진 책이지만 저자의 독특한 인생 배경이 우리나라와 일본을 동시에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준 것 같다. 동시대의 역사를 우리와 일본을 같은 눈으로 볼려고 노력한 흔적이 많이 보인다. 벼농사의 시작과 백제 문화의 일본에 미친 영향을 상세하게 기록해 놓았다. 무엇보다 일본 식민지배의 실상을 적나라하게 폭로하고 있다. 이를 통해 그가 원하는 것은 과거는 돌이킬 수 없지만 미래에는 좋은 관계를 맺었으면 하는 것이다. 한국에서 일본에 대한 좀 더 전향적인 관심을 가졌으면 하는 것이 저자의 마음인 것 같다. 일본 대부분의 대중들은 과거 그들의 잘못된 역사에 대해서 모르고 그러한 교육을 받아 본적이 없다고 저자는 말하고 있다. 일본은 ‘데모’라는 것이 전혀 없는 나라이며 왠만해서는 일본 천황 또는 정부에 충성하는 특수한 나라라는 것을 말하고 있다. 제국주의를 추구하는 나라가 다 그렇듯이 일본은 철저히 역사를 왜곡하고 있다는 것을 보게 된다.


우리의 식민지 시절 우리나라에서 발굴 작업을 했던 일본 학자들은 우리나라 사람을 전혀 참여시키지 않고 불충분한 자료들을 가지고 한반도의 금속문화를 모두 중국인이 갖고 들어왔다는 결론을 내린다. 그리고 일본 정부는 이를 기초로 한국인은 자신의 국가를 세워 운영할 만한 능력이 없기 때문에 자신들이 대신 경영해 주는 것이며 이러한 것을 고대까지 소급해서 적용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리하여 우리나라 역사가 중국 한나라 무제의 정복에 의해서 시작되었다고 주장한다.


1910년 8.29일 한국 병합조약이 공포되자 일본의 도쿄 아사히신문은 다음과 같이 보도한다. ‘신라, 고려, 조선 등은 ........ 가소롭게도 국가의 흉내를 냈을 뿐이지 국가가 아니다. 이런 국가 같지 않은 국가가 이웃에 있었다는 것은 우리 일본인의 수치이다.’


이글을 읽으며 피가 거꾸로 흐르는 분노를 느꼈다. 당시 느꼈을 우리네 선조들의 고통이 어떠했을까를 생각할 때 마음이 아팠다. 저자는 해방 후의 우리나라의 혼란이 너무나 많은 애국지사들이 식민지 생활 가운데 죽었기 때문이라는 가슴 아픈 얘기를 한다. 사람은 많았지만 지도자가 될 만 한 사람은 없었다는 얘기다. 결국 하나 될 수 있는 기회를 놓치고 미국과 소련, 중국의 이데올로기의 장이 되어 버렸다. 이것이 더 가슴 아프다.


일본의 지배 계층은 세월이 흘러도 생각이 바뀔 것 같지는 않다( 일본 국민이 자신의 힘으로 역사를 바꾸지 않는 한). 우리는 여전히 이러한 일본과 중국 그리고 러시아를 이웃으로 두고 있다. 그리고 한 쪽에는 정치 경제적으로 신음하는 동족이 있다. 우리에게는 짊어져야 할 짐이 아직도 무겁게 남아 있다. 이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