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림으로 배우는 경제사 - 부의 절대 법칙을 탄생시킨 유럽의 결정적 순간 29, 2023 세종도서 교양부문
이강희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22년 11월
평점 :
그림 한 장으로 세상을 볼 수 있다. 물론 역사와 경제를 깊이 알고 있을 때 가능하리라. 당시 사회를 잘 반영하는 것이 건축물이고 여러 유물이다. 이 유물 중에 그림도 포함된다. 저자는 한 장 한 장의 그림을 통해 당시 사회를 설명한다. 유럽을 총 29개의 단락으로 나누어 결정적 순간으로 포착하고 있다. 저자가 바라본 부의 흐름을 볼 수 있다.
유럽의 뿌리를 고대 그리스로 보고 있다. 아테네를 지탱해 중 것은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는 올리브와 포도였다고 한다. 그리고 해양국가로 나갈 수 있도록 해 준 것은 은광이었다고 한다. 그리고 그들의 부를 축적해 준 것은 소금과 확 트인 도로 곧 길이었다고 한다. 저자는 이외에도 유럽 각국을 지탱해 준 물건들을 소개하고 있다. 맥주, 대구, 청어, 후추, 목재, 커피, 귤 등이 나온다. 이 중 재미있는 것이 대구에 관한 이야기다. 대구는 닥치는 대로 잡아먹는 대식가라고 한다. 그래서 크기에 따라 보통 5~15킬로그램이나 나가고 더러는 20킬로그램까지 한다고 한다. 그래서 염장을 해서 말린 이 대구가 인기가 많았다고 한다. 청어는 보통 50~300 그램 정도하기 때문에 비교가 되지 않는다. 게다가 보관 기간도 청어가 2년 정도 되지만 대구는 무려 5년까지 가능하고 기름기가 적은 대구는 염장을 하지 않고 말리기만 하는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거기에 유대인들이나 카톨릭 국가에서는 금식기간에 빵이나 다른 음식을 먹을 수 없었지만 이 염장하여 말린 대구는 식용이 가능해 인기가 많았다고 한다. 이 대구는 영국과 아이슬랜드의 분쟁으로 이어졌고 배타적 경제 수역이라는 새로운 용어를 만들었다고 한다.
1장에서 유럽 부를 만든 재화들을 살펴 본 저자는 2장에서는 유럽 경제를 뒤흔든 사건들을 살펴보고 있다. 유럽을 구한 농업 혁명과 지중해 패권 전쟁인 포에니 전쟁 그리고 한자 전쟁 등을 소개하고 중간에 페스트의 창궐을 다루고 칼라 해전도 소개하고 있다. 자본주의 시작을 알리는 인클로저운동과 동서양의 경제의 역전을 가져온 아편전쟁을 마지막으로 소개하고 있다. 이 중 인클로저운동 즉 영주들이 페스트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죽어 많은 식량이 필요하지 않아 휴경지가 많아지고 이곳에 가축을 길렀는데 수익이 많이 나자 서로 울타리를 만들어 자기 소유지로 명명한 운동을 뜻하는데 새로운 지주로 성장한 젠트리들이 여기에 뛰어 들었다. 이 현상은 도미노처럼 이 인클로저운동으로 인해 일자리가 줄어든 농부들이 도시로 몰려 들었고 이로 인해 사회적 문제가 발생했다. 이 과정에서 농부들에게서 걷은 조세로 부를 유지하던 왕족과의 갈등으로 결국 청교도 혁명이 발생했고 찰스 1세 왕의 목이 잘리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로 인해 귀족과 젠트리가 자본가로 성장했고 그 손을 전 세계로 뻗었다. 결국 대영 제국이라는 이름으로 다른 나라를 침략하고 노동자를 수탈하는 자본주의의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웠다.
그림으로 경제사를 배운다고 하지만 그림은 한 단원에서 1~2장 나온다. 다만 저자의 풍부한 지식으로 그림의 배경을 설명해준다. 유럽의 경제의 중요한 대목들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