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온리원 영어학원 만들기 - 23년차 영어학원 원장의 학원 경영 로드맵
김위아 지음 / 대경북스 / 2022년 11월
평점 :
학원은 학교와는 다르다. 배우는 과목은 같을지라도, 가르치는 것과 배우는 것은 같을지라도 서로를 대하는 것은 좀 다르다. 학원은 개인에게 돈을 받고 가르쳐 주는 것이라 그들이 요구하는 것 곧 성적을 올려주어야 한다. 실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뒤로하고 일단 먼저 학교 또는 모의고사 성적을 올려 줘야 학원에 남는다. 학교는 커리큘럼에 따라 또는 교사의 역량에 따라 가르치기에 이 과정을 잘 따라 가는 학생이 있는가 하면 여러 가지 이유로 뒤처지는 학생들도 있다. 이론적으로는 이들을 잘 끌어올려야하지만 학교는 현실적으로 이들을 감당하기가 쉽지 않다. 학원에서도 이들을 돌보기가 쉽지 않다. 이들을 누가 감당해야 할까? 오늘날 우리에게 학교와 학원은 많은 과제를 준다.
저자는 23년 동안 어떻게 학원을 잘 이끌어 왔는지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학원도 세상의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것이기에 다양한 사람들이 존재한다. 그러기에 순진한 대처는 많은 대가를 지불한다. 처음부터 원칙을 세워 때로는 너무 무정하거나 야박할 정도로 해야 마음고생을 덜하고 원만하게 학원을 유지할 수 있다고 말한다. 꾸준함과 성실은 기본이고 학생을 대함에 있어 차별이 없어야 한다. 모든 이에게 공평해야 하고 작은 사심이 들어가면 그 취지에 상관없이 균열이 생긴다.
우리의 대부분이 자녀를 두고 있고 또 학부형이면서 때로는 선생이고 교사고 강사이지만 학생을 대함에 있어 그 입장차가 있다. 겉으로 볼 때 학원이 쉽고 화려해 보일 수 있지만 대한민국에서 어쩌면 가장 힘들 직종의 하나일 것이다. 단순히 한 학생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학부모를 만나야 하고 순진한 학생들보다 거칠고 까다로운 학생들이 많다. 그리고 가르치는 것보다 그 외적인 인간관계가 더 힘들게 하고 돈이 개입하기에 더욱 복잡하다. 저자의 어렸을 적부터 확립된 자립적인 삶이 이런 힘들 일들을 헤쳐 나가게 한 원동력이 되었던 것 같다. 분명한 목표와 신념만이 이러한 난관들을 이겨 나가게 하는 것 같다. 저자의 소원처럼 학원계의 피터 드러커가 되기를 소망한다. 저자의 말처럼 좋은 강사는 없는 지도 모르겠다. 학생에게 좋은 강사는 잘 가르치는 사람이고 원장에게 좋은 강사는 학원 입장에서 철저히 자신을 다 쏟은 사람일 것이다. 그런데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고 경륜이 생기면 자신의 몫을 챙긴다. 그런데 그것을 지나치다고 할 수도 없다. 어느 곳이든 인간관계가 가장 어렵다. 그리고 사람을 신뢰하고 맡긴다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러나 거기에 또한 답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