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초등수학을 결정하는 개념 총정리
잠실 최자매 아비(최완호) 지음 / 사람in / 202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학생들에게 항상 가장 어려운 과목은 수학이라고 한다. 어떤 이들에게는 이것이 이해가 가지 않는다. 가장 단순하고 명료한 것이 수학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언어 영역은 애매모호한 것들이 많아 그 상황에 맞게 해석해야 하는 경우가 많지만 수학은 거의 정해져 있다. 그런데도 왜 수학을 여전히 많은 학생들이 어려워하고 아예 포기까지 해 버리는 것일까? 저자는 자신의 딸을 가르치면서 아이들이 어려워하는 개념들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해 준 것 같다. 개념이 잡히고 이들을 잘 활용만 한다면 수학은 글자 그대로 단순하고 명쾌하다. 물론 수능 수학은 좀 다르다. 사고력을 필요로 요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개념만 제대로 서 있다면 수학이 그렇게 어려운 과목은 아닐 것이고 최소한 수학을 필요하지 않는 과목으로 인식은 하지 않을 것이다. 실제로 우리 실생활에 밀접한 것이고 제대로 공부하다 보면 사고력이나 계산력, 집중력이 좋아지기 때문이다.
저자는 수학을 전공한 사람이 아니다. 물론 그가 수학을 이용한 프로그램을 작성을 하지만 직접적으로 수학을 공부한 사람은 아니다. 저자처럼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이 수학을 가르치다보니 딱딱한 전공의 단어들이 나오지 않고 일상적인 말들이 많이 등장해 읽기가 수월하다. 때로는 초등학생들이 이해하기 힘든 부분들도 나오지만 앞 뒤 글들을 읽다보면 얼추 다 이해가 된다. 시중에 나와 있는 기존의 참고서나 문제집과는 접근이 다르기 때문에 신선하다. 초등학교 전 과정을 다루었기 때문에 내가 부족한 부분을 찾아 부분적으로도 공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대부분 수학이 초등학교 고학년 곧 4-6년부터 어려워진다고 말한다. 본격적으로 계산이 복잡해지고 어려운 용어들이 등장하기 시작한다. 예를 들어 최대공약수, 최소 공배수를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문제들은 꽤 복잡하다. 이해하기 보다는 외워서 푸는 아이들도 많다. 평행이동, 대칭이동이란 것도 등장하고 원주율도 나온다. 이것들을 충분히 이해하면 중고등학교 공부에 별 어려움이 없고 흥미를 갖고 대할 수 있으리라. 이런저런 책들이 다양하게 나와 조금이라도 아이들이 수학에 흥미를 더 갖고 공부하고 좋은 성적을 얻고 우리나라 발전에 기여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모두 수학의 트라우마에서 해방되길 소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