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 자이언츠가 온다 - 세상을 바꾸는 완전히 다른 패러다임
보 벌링엄 지음, 김주리 옮김 / 넥스트북스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업의 설립 목적이 무엇이냐에 따라 방향성이 결정되고 그 크기와 규모가 달라진다는 것을 새삼 느낀다. 무조건 외적인 성장을 이루어 큰 기업을 이루는 것이 능사가 아니고 처음 출발했던 가치를 계속해서 추구하고 있는가가 기업의 지속성과 깊은 관련이 있다는 것을 저자는 잘 보여주고 있다. 기업의 존속 여부는 단지 매출의 규모나 이익의 크기에 만 있는 것이 아니라 꾸준하고 질 좋은 제품의 생산과 서비스, 그리고 그 지역과의 깊은 유대 관계와 함께 하고 있는 종업원들이나 회사원들의 깊은 만족감 등이 어우러져야 함을 보게 된다. 저자가 관찰한 스몰 자이언츠들의 모습은 그들이 어떻게 이런 가치와 초심을 유지하였는지 어떤 문제들이 그들 앞에 나타났고 어떤 과정을 거쳐 이것을 극복했는지 상세하게 보여준다.

 

스몰 자이언츠작은 거인들이란 명칭은 이 책에 나오는 기업주 중의 한 사람인 제이 골츠가 붙여준 이름이라고 한다. 이러한 기업들의 특징은 겉으로 드러나는 재정적인 목표 곧 매출, 이윤, 시장 점유율 등 보다 꾸준하고 질 좋은 제품 생산과 일하기 좋은 환경을 만드는 것, 고객에게 훌륭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공급업체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그들이 속한 지역사회에 좀 더 기여하고 행복한 삶을 누리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기업들을 말한다. 이러한 것들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규모가 크기가 한정되어야 하고 이익 또한 제한을 두어야 한다고 한다. 회사의 규모를 키우기 위해서는 돈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또한 주식 시장에 상장을 해야 하고 이것은 또한 주주들의 이익을 극대화시켜야하는 문제에 부딪치게 되고 그러다 보면 원래의 가치보다 이익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가게 된다고 여러 사례들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그는 많은 업체들 중에서 몇 가지 기준(회사를 설립한 당사자 또는 소유한 본인이 중대한 결정을 내리는가, 자신이 속한 경쟁업체에서 존경받고 모범이 되는 기업인가, 뛰어난 성과와 탁월함으로 제 삼자도 인정하는 기업인가, 인간적인 규모로 소통이 가능한 기업인가- 최고 경영자가 언제든 직원들과 만날 수 있는가. )을 정해 이러한 기업들에 포함시켰고 이들 중 엄선하여 총 14개 기업을 소개하고 있다. 이들은 직원 수가 많게는 1722명이고 적게는 2명이라고 한다. 연 매출액도 많게는 34400만 달러에 이른다고 함. 회사의 역사도 적게는 20여년 많게는 90여년에 이른다. 그들에게는 다른 곳과 차별화된 무언가가 있다고 한다. 이른바 영혼마법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들은 이것을 유지하기 위해 나름의 지배구조와 열정을 가지고 있다.

 

10장으로 구성하여 각기 기업들이 부딪친 문제들과 극복하는 과정들을 서술하고 있다. 우리가 어느 정도 성공을 하면 프랜차이즈를 통해 기업을 확장하는 모습을 많이 보아 왔다. 이 과정에서 성공하는 기업들도 봤지만 실패하는 경우를 너무 많이 봐왔다. 그러나 외적인 규모의 확장보다 이러한 가치 실현을 통해 보다 견실하고 확실한 기업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이 시대 작은 거인들이 우리에게도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