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이 내 몸을 살린다 - 100세까지 아프지 않고 건강하게 사는 힘
차용석 지음 / 피톤치드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면역을  단어로 표현하면 저자는 장이라고 말할  있다고 한다우리  안에 있는 면역세포의 7~80% 소화기관에 있다고 한다. 외부에서 들어오는 음식을 소화라는 과정을 통해서 우리  안에 들여와 각종 영양을 공급하는데 장은 애매모호한 위치에 있다.  안도 아니고  밖도 아닌 것이다. 음식물을 장벽이 흡수해야 비로소  안으로 들어 오게 된다.  장벽에 우리 몸의 면역세포의 7~80% 모여 있다. 종이  장의 두께에 불과한  벽에서 우리  안에 들어오는 것들을  검색하는 것이다. 소장과 대장에 있는  방어막을 전문용어로 GALT라고 하는  우리 말로 표현하면 림프조직이라고 한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조직을 파괴하는  번째 요소가 우리가 복용하는 약들 대표적으로 진통소염제와 스테로이드제라고 말하고 있다. 장기간 이러한 약들을 복용할  장벽에 구멍이  확률이 높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다는 이야기다. 그래서 요즘 가장 핫한 것이 유산균이다.  건강을 위해서, 다이어트를 위해서도  유산균이 인기가 좋다. 그런데  유산균이 어떤 종류인지는 모른다. 깨알 같은 글씨로  있지만 읽기도 힘들고 읽는다고 해도 이해가 되지 않는 단어들 밖에 없다. 그러면 어떤 유산균을 먹어야 할까? 그것은 아직까지는 아무도 모른다. 어떤 균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모르기  때문이다. 아직  수많은 유산균들을 연구하지 못한  같다. 장안에 어떤 균들이 있고 얼마나 많이 들어 있는 지도  모른다. 물론 사람마다  다른 이유도 있다. 유럽에서는 장이 건강한 사람의 대변을 채취해 대장균을 양성화시켜 건강하지 못한 사람의 장에 주입시키는 시술도 한다고 들었다. 그러니까 일단 양이 많은 유산균을 골라 복용하는지도 모르겠다. 

 

 

저자는 재미있는 이야기도  준다. 파스퇴르와 베샹의 논쟁거리다. 150   대결에서 1차적으로 파스퇴르가 승리해  이후로  세계는 놀라운 의학을 발전을 이루었다. 그가 생각한 모든 질병의 원인은 세균이나 바이러스같은 미생물이라는 것을 바탕으로 오늘날 의학은 눈부신 발달을 이루었다. 언뜻 인류는 질병을 퇴치한  같았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는  당시보다 훨씬 많은 질병을 안고 살아간다. 당시보다  곤혹스러운 질병들, 암이나 당뇨병, 치매, 류마티스 관절염뿐만 아닐 각종 자가 면역 질환들과 우울증 등으로 고통당하고 있다. 과연 질병의 원인이 이러한 외부의 요인들일까? 하는 합리적인 의심들이 오늘날 많이 대두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