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권력은 간신을 원한다 - 한명회부터 이완용까지 그들이 허락된 이유
이성주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민주주의 역사상 유례가 없는 대통령의 탄핵이라는 사건으로 정권이 교체가 되었고 그 중심에 섰던 한 여인이 국정을 좌지우지했다는 사실이 우리를 허탈하게 했었다. 어찌 보면 대통령 주위에 이런 사람들이 모일 수 있었던 것은 그 권력이 그만큼 탐났다는 것이고 이 책의 저자가 말하는 것처럼 그들을 권력자가 이용했다는 이야기도 된다. 간신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고 권력자는 이들을 적절히 이용하다가 버리거나 또는 같이 파멸의 길로 접어 들었다. 저자는 9명의 간신들을 소개하고 있다. 그들이 정말 간신이었는지 아니면 역사나 권력의 희생물이었는지는 이것도 저것도 아니면 만들어진 간신이었는지 그 이면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저자는 역사를 논할 때 선악의 개념이 아니라 이해의 개념으로 접근할 것을 당부한다. 권력자는 명분의 이용해 자신의 권력을 유지하려고 적절한 구실을 찾아 아무도 반대하지 못하도록 한다. 저자는 이를 설명하면서 효종의 북벌을 말하고 있다. 그가 북벌을 외쳤던 이유는 자신의 정권의 정당성을 향한 시선을 다른 데로 돌리고 자신의 권력을 공고히 하고자 함이었다고 쓰고 있다.

 

9명의 면면을 간단히 살펴보면 정조와 한 몸이었던 홍국영, 조선을 몰락의 길로 몰았던 김자점- 그를 통해 간신이 갖추어야 할 덕목을 알게 되었다. 생각이 없어야 하고 인망이 없어야 하고 능력이 없어야 하며 만족을 몰라야 한다고 한다. 이러한 사람이 이른바 의 조건이 되고 권력자는 이런 자를 총애하고 오래 쓴다고 한다. 그 다음에 등장하는 이가 윤원형이다. 문정왕후에 의해 등장한 궁정 농단자다.

 

저자는 한명회와 김질, 이완용을 한 부류로 묶었다. 아마 이들은 명분보다 실리를 앞세웠고

뛰어난 정치력을 발휘해 권력을 잡았고 유지했기 때문인 것 같다. 마지막으로 임사홍과 원균 그리고 유자광이 등장한다. 이들은 권력에 철저히 이용되었던, 만들어진 간신들이다.

 

간신의 등장은 나라와 국민들 편에서는 큰 아픔이요 상처다. 권력자 개인의 욕망이나 무능력으로 인해 그들을 이용하고 권력을 유지할 수는 있겠지만 역사는 이 사실은 안다. 지금은 이런 왕정 국가가 아니지만 지금도 여전히 무능한 권력자 앞에는 간신들이 들락거린다. 두 눈을 부릅뜨고 국민들이 지켜봐야 할 이유다. 민주주의 발전은 뛰어난 지도자에 의해서가 아니라 현명한 국민들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